자동차 정보

[스크랩] 싼타페CM 시동시스템

연두무침 2009. 11. 10. 21:07

개요

스타터 회로 고장 진단
배터리는 완전히 충전되어 있고 양호한 상태여야 한다.
1.
퓨즈 박스에서 연료 펌프 릴레이(A)를 분리한다.

2.
A/T 차량의 경우 변속 레버를 N 또는 P 위치에 위치시키고, M/T 차량의 경우 클러치를 밟은 상태에서 점화 스위치를 "START" 한다.
스타터가 엔진을 정상적으로 크랭킹하면 시동계통은 정상이고, 스타터가 엔진을 전혀 크랭킹 하지 못하는 경우 다음 단계로 이동하여 점검한다.
점화 스위치를 놓아 스위치가 "START" 위치에서 "ON"위치로 복귀하였음에도 피니언 기어가 링 기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 다음 사항들을 점검한다.
A.
솔레노이드 플런저와 스위치의 고장
B.
피니언 기어 또는 오버러닝 클러치의 손상
3.
배터리 상태를 점검한다. 배터리 각 터미널의 연결상태, 배터리 (-)케이블과 차체의 연결상태, 엔진 접지 케이블, 스타터 "B" 터미널의 연결상태 및 부식 등을 점검한 후 다시 엔진을 크랭킹 한다.
스타터가 엔진을 크랭킹 하면 연결상태 불량이 원인이었으며 현재 시동 계통은 정상이다. 크랭킹이 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여 점검한다.
4.
스타터 솔레노이드의 "S" 터미널에서 커넥터를 분리한 후 점프 와이어를 이용해 솔레노이드의 "B" 터미널과 "S" 터미널을 연결한다.
스타터가 엔진을 크랭킹 하면 다음 단계로 이동하여 점검하고, 크랭킹이 되지 않으면 스타터를 분리한 후 정비하거나 또는 필요한 경우 교환한다.
5.
개방된 회로를 찾을 때까지 다음 항목들을 점검한다.
A.
실내 퓨즈 박스와 점화 스위치 사이의 커넥터 및 와이어, 실내 퓨즈 박스와 스타터 사이의 커넥터 및 와이어 점검 (그룹 BE - 점화 시스템 참조)
B.
점화 스위치 점검(그룹 BE - 점화 시스템 참조)
C.
변속기 레인지 스위치 및 커넥터 또는 이그니션 록 스위치 및 커넥터 점검
D.
스타터 릴레이 점검

스타트 모터 솔레노이드 점검

1.
솔레노이드의 "M"터미널에서 와이어를 분리한다.
2.
"S"터미널에 밧데리 +를 연결하고 "M"터미널과 보디에 밧데리 -를 연결한다.
이 점검을 할 경우는 M단자에서 커넥터를 뺀다.
10초이상 연속 접속하지 않는다.

3.
마그네틱 스위치의 S단자와 M단자 사이에 배터리를 접속한 경우 플런저가 흡입되어 피니언이 튀어 나오면 풀인 코일은 정상이다. 만일 튀어나오지 않으면 마그네틱 스위치를 교환한다.
4.
"M"터미널에 -단자를 탈거할 경우 피니언이 움직이지 않으면 홀드인 코일은 정상이다.
10초이상 연속접속을 하지 않는다.

5.
밧데리 -단자를 보디에서 탈거할 경우 피니언은 즉시 원위치로 되돌아가면 정상이다.
10초이상 연속접속을 하지 않는다.

무부하 테스트

1.
스타터 모터(A)와 배터리(B) 및 전류계(C), 전압계(D) 및 가변저항(E)을 그림과 같이 접속한다.

2.
가변저항을 최대로 하여 스위치를 ON으로 한경우 경쾌하게 회전한다면 스타터 모터는 정상이다. 전압계가 11.5 V가 되도록 가변저항을조정후 만일 전류 및 회전수가 규정치이외의 경우는 다음 표를 근거로 해서 고장의 원인을 추정해 수리한다.

규정치
전류 : 120A MAX
속도 : 4000 RPM

현 상
고 장 원 인
전류가 세고 회전수가 낮다.
토크도 그다지 세지 않다.
금속의 소손, 오일 오염
전기자 코어와 폴 피스의 마모
전기자 코일의 쇼트
전류가 세고 회전하지 않는다.
전자 스위치의 어스
전기가 코일, 필드 코일의 어스
금속의 늘어 붙음
전류가 흐르지 않고 회전하지 않는다.
전기가 코일, 필드 코일의 단선
브러시와 피그테일의 단선
정류자의 오염, 흑운모(Highmica)등에 의한 브러시와 정류자의 접촉 불량
전류가 약하고 회전수가 낮다.
(토크는 그다지 세지 않다)
필드 코일 접속부의 접촉 불량 단 분권 코일만 단선 또는 접속 불량인 경우는 회전수는 높게 된다.
전류가 세고 회전수가 높다.
(토크는 그다지 세지 않다)
필드 코일의 쇼트

스타터

구성부품

교환
1.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2.
솔레노이드(C)의 "B"터미널(B)에서 스타터 케이블(A)을 탈거하고 "S"터미널(E)에서 커넥터(D)를 탈거한다.

3.
볼트 2개를 풀고 스타터를 탈거한다.
4.
장착은 탈거의 역순이다.
커넥터와 케이블을 확실히 조립할 것.
분해
1.
너트(A)를 풀고 마그네틱 스위치 터미널(C)에서 리드 와이어(B)를 분리한다.

2.
볼트를 풀고 요크 어셈블리(B)와 아마츄어(C)를 프론트 브라켓(D)에서 탈거한다.

3.
스크류(A)를 풀고 하우징 리어 커버(B)와 패킹(C)을 분리한다.

4.
마그네틱 스위치(A)와 스프링 코일(B)을 탈거한다.

5.
스크류(A)를 풀고 하우징(F)에서 클러치 서브 어셈블리(B), 아이들 기어(C), 아이들 기어 베어링(D) 그리고 드라이브 기어(E)를 탈거한다.

6.
자석(A)을 이용하여 클러치 샤프트 구멍에서 쇠구슬(B)을 탈거한다.

7.
장착은 탈거의 역순이다.
신품의 O-링을 요크 어셈블리에 장착하고 하우징의 마크와 요크 어셈블리의 마크를 확인하여 장착한다.

점검

아마츄어 점검

1.
아마츄어(A)를 두개의 "V"블록(B)에 놓은 후 다이얼 인디 케이터(C)를 사용하여 마모를 점검한다.

한계치 : 0.05 mm

2.
아마츄어의 세그먼트 사이의 통전을 점검한다.
통전이 되지 않는 곳이 있으면 아마츄어를 교환한다.

3.
정류자와 아마츄어 코일과 통전시험을 하고 정류자와 아마츄어 샤프트와 통전시험을 해서 통전 되는 곳이 있으면 아마츄어를 교환한다.

브러쉬 홀더 점검
+브러쉬 홀더와 -브러쉬 홀더 사이의 통전을 점검한다. 통전이 되면 브러쉬 홀더를 교환한다.

오버 런닝 클러치

1.
클러치 하우징을 잡고 피니언을 회전 시킨다. 구동 피니언은 한쪽 방향으로만 부드럽게 회전하고 반대 방향으로는 회전하지않아야 한다. 양방향 모두 회전하는 경우 또는 양방향 모두 회전하지 않는 경우는 오버 런닝 클러치를 교환한다.

2.
피니언의 마모 및 흠집을 점검한 후 피니언에 마모 혹은 흠집이 생겼으면 오버 런닝 클러치 어셈블리를 교환하고, 피니언이 손상된 경우에는 링 기어의 마모 및 흠집 여부를 점검한다.

프론트 및 리어 브라켓트 부싱
부싱의 마모 및 흠집을 점검한 후 마모 및 흠집이 발견되면 프론트 브라켓트 어셈블리 및 리어 브라켓트 어셈블리를교환한다.
세척

1.
솔벤트에 부품을 담궈놓으면 요크, 계자 코일(fied coil)어셈블리 혹은 아마츄어의 절연부에 손상이 생길수 있으므로 이들 부품은 깨끗한 걸레로 세척해야 한다.
2.
솔벤트로 구동부품를 세척시 완전히 담그지 말아야 한다.
3.
구동부품은 솔벤트를 묻힌 브러시로 닦은 후 걸레로 세척해야 한다.

출처 : 시흥현대모터스
글쓴이 : you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