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원 |
변속기 |
A5HF1 | ||
적용엔진 |
D2.0 |
D2.2 | |
기어비 |
1속 |
3.789 |
3.840 |
2속 |
2.064 |
2.092 | |
3속 |
1.421 |
1.440 | |
4속 |
1.034 |
1.048 | |
5속 |
0.728 |
0.728 | |
후진 |
3.808 |
3.859 | |
종감속비 |
3.684 |
3.684 | |
T/M 오일 용량(ℓ) |
10.9 |
추천 변속기 오일 |
Diamond ATF SP Ⅲ 또는 SK ATF SP Ⅲ |
오일 점검 및 보충 |
1년 또는 20,000 km 마다 |
교환 |
자가용(일반사용시) |
100,000 Km 마다 |
자가용(가혹사용시*) 또는 사업용 |
40,000 Km 마다 |
1. |
험로(모래자갈길, 눈길, 비포장길) 주행 |
2. |
산길, 오르내리막길 주행 |
3. |
단거리 주행의 반복 |
4. |
기온 32도 이상의 혼잡한 시가지 주행으로 50%이상 사용 |
5. |
경찰차, 택시, 상용차, 견인차 등등 |
항목 |
기준치 (mm) |
브레이크 리액션 플레이트 엔드 플레이 |
0 ~ 0.16L |
로우 & 리버스 브레이크 엔드 플레이 |
1.15 ~ 1.45 |
세컨드 브레이크 엔드 플레이 |
0.85 ~ 1.15 |
언더 드라이브 선 기어 엔드 플레이 |
0.25L ~ 0.45L |
입력축 엔드 플레이 |
0.70L ~ 1.45L |
디퍼렌셜 케이스 엔드 플레이 |
0.045T ~ 0.105T |
디퍼렌셜 사이드 기어와 피니언의 백래쉬 |
0.025L ~ 0.150L |
항목 |
체결토크 (kgf.m) |
컨트롤 케이블 브라켓 |
1.9 ~ 2.3 |
아이볼트 |
2.8 ~ 3.4 |
오일쿨러 피드튜브 |
1.9~ 2.3 |
오일 필터 |
1.0 ~ 1.2 |
입력축 속도 센서 |
1.0 ~ 1.2 |
출력축 속도 센서 |
1.0 ~ 1.2 |
매뉴얼 컨트롤 레버 |
1.7 ~ 2.1 |
인히비터 스위치 |
1.0 ~ 1.2 |
밸브 바디 커버 |
1.0 ~ 1.2 |
밸브 바디 장착 볼트 |
1.0 ~ 1.2 |
매뉴얼 컨트롤 샤프트 디텐트 |
0.8 ~ 1.0 |
매뉴얼 밸브 레버 |
0.9 ~ 1.2 |
파킹 로드 가이드 |
0.8 ~ 1.0 |
리어 커버 |
2.0 ~ 2.7 |
컨버터 하우징 |
4.3 ~ 5.5 |
오일 펌프 |
2.0 ~ 2.7 |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 |
0.8 ~ 1.2 |
트랜스퍼 드라이브 기어 로크 너트 |
18 ~ 21 |
오일 방출 플러그 |
3.5 ~ 4.5 |
디퍼렌셜 드라이브 기어 |
13 ~ 14 |
프레셔 체크 플러그 |
0.8 ~ 1.0 |
프론트 롤 스톱퍼 브라켓 크로스 멤버 볼트 |
5.0 ~ 6.5 |
프론트 롤 스톱퍼 인슐레이터 볼트 및 너트 |
5.0 ~ 6.5 |
프론트 롤 스톱퍼 브라켓 변속기 볼트 |
5.0 ~ 6.5 |
리어 롤 스톱퍼 브라켓 크로스 멤버 볼트 |
5.0 ~ 6.5 |
리어 롤 스톱퍼 인슐레이터 볼트 및 너트 |
5.0 ~ 6.5 |
리어 롤 스톱퍼 브라켓 변속기 볼트 |
5.0 ~ 6.5 |
자동변속기 마운팅 서브 브라켓 변속기 볼트 |
5.0 ~ 6.5 |
자동변속기 마운팅 브라켓 볼트 |
5.0 ~ 6.5 |
자동변속기 마운팅 인슐레이터 볼트 |
7.0 ~ 9.5 |
윤활유 |
항목 |
규정 윤활유 |
용량 |
자동변속기 오일 |
다이아몬드 ATF SP-III 또는 SK ATF SP-Ⅲ |
10.9ℓ (5속) |
항목 |
기준 실런트 |
리어 커버 토크 컨버터 하우징 밸브 바디 커버 |
LOCTITE (주) FMD-546 |
트랜스미션 케이스 사이드 커버 |
Three Bond(주)의 TB1389 또는 LOCTITE(주) 518 |
특수공구 |
공구 (품번 및 품명) |
형상 |
용도 |
09200-38001 엔진 지지대 |
|
|
자동변속기
각종 센서 및 액츄에이터 기능
명칭 |
기능 |
입력축 속도 센서 |
입력축 회전수(TURBIN RPM)을 UD 리테이너 부에서 검출 |
출력축 속도 센서 |
출력축 회전수를 다이렉트 캐리어 플레이트부에서 검출 |
크랭크각 센서 |
엔진 회전수를 토크 컨버터 부에서 검출 |
유온 센서 |
ATF의 온도를 서미스터로 검출 |
인히비터 스위치 |
선택 레버의 위치를 접점식 스위치로 검출 |
브레이크 스위치 |
브레이크의 작동을 브레이크 배달부의 접점식 스위치로 검출 |
차속 센서 |
차량 주행속도를 스피드메타 기어부에서 검출 |
스포츠 모드 선택스위치 |
스포츠 모드의 선택을 선택 레버부의 접점식 S/W로 검출 |
스포츠 모드 UP SHIFT 스위치 |
스포츠 모드에서의 UP SHIFT요구를 선택레버 접점식 스위치로 검출 |
스포츠 모드 DOWN SHIFT 스위치 |
스포츠 모드에서의 DOWN SHIFT요구를 선택레버의 접점식 스위치로 검출 |
A/T 제어릴레이 |
솔레노이드 밸브로의 전원 공급 |
DCC(또는 TCC) 솔레노이드 밸브 |
토오크컨버터 제어를 위한 댐퍼클러치 제어밸브로의 유압을 조압 |
LR(DIR) 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조합 |
2ND 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조합 |
UD 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조합 |
OD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조합 |
RED 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조합 |
VFS 솔레노이드 밸브 |
변속제어를 위한 압력제어 밸브로의 유압을 최적화 |
1. |
ATF온도가 통상온도 (70~80°C)가 될 때까지 주행한다. |
2. |
기어를 'N' 위치에 두고 엔진이 정규 아이들 회전수인 것을 확인한다.(주차 브레이크 당긴 것을 확인할 것) |
3. |
선택레버를 각 위치에서 순환시킨 후, "P" 또는 "N" 위치에 둔다. |
4. |
오일 레벨 게이지 주변부의 오염물을 제거한 후 오일 레버 게이지를 닦고 ATF의 상태를 점검한다.
|
5. |
ATF레벨이 오일 레벨 게이지의 "HOT" 사이에 있는지 점검한다. ATF량이 적을 때는 "HOT" 범위가 되도록 보충한다.
자동 변속기 오일 : 순정품 다이아몬드 ATF SP-III 또는 SK ATF SP- III.
자동 변속기 오일량 : 10.9리터(참조용일 뿐임. 게이지로 양 조절할 것.)
|
6. |
오일 레벨 게이지를 확실히 끼워 넣는다. |
1. |
변속기와 오일 쿨러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호스를 빼낸다. |
2. |
엔진을 시동하여 ATF를 방출한다.
운전조건 : N레인지, 아이들링
|
3. |
변속기 케이스 하부의 방출 플러그(A)를 빼내어 ATF를 방출한다.
|
4. |
방출 플러그에 가스켓을 끼워 설치하고 기준 토크로 조인다.
|
5. |
신품 ATF를 오일 주유 튜브로 주입한다.
|
6. |
2항의 작업을 다시 한번 실시한다.
|
7. |
신품 ATF를 오일 주유 튜브로 주입한다. |
8. |
1항에서 빼어낸 호스를 조립하고 오일 레벨 게이지를 확실히 끼워 넣는다. |
9. |
엔진을 시동하여 10분간 아이들 운전한다. |
10. |
선택레버를 각 위치에서 순환시킨후 "P" 또는 "N" 위치에 넣는다. |
11. |
ATF온도가 통상온도 (70~80°C)가 될 때까지 주행하고 ATF량을 재점검한다. ATF레벨은 "HOT"범위가 되어야 한다.
|
12. |
오일 레벨 게이지를 오일 주유 튜브에 확실히 끼워 넣는다.
변속단별 클러치 및 브레이크 작동요소
(● : 구동시 LOCK)
클러치 및 브레이크 기능
유압제어 시스템
유압제어 장치의 주요특징
유압제어 장치는 오일 펌프 그리고 압력제어 레귤레이터 밸브, 유압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 유압제어 밸브와 각종 밸브를 내장하는 밸브바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속시 작동 유압을 각 요소마다 설정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의해 독립제어가 가능하며 부드럽고 응답성이 빠른 변속을 실현한다.
전자제어 계통에 고장 발생시에도 스위치 밸브, 페일세이브 밸브의 작동에 의해 3속 및 후진 주행이 가능하다.
그리고 레귤레이터 밸브에 VFS 솔레노이드밸브를 추가하여 차량상태에 따라 최적의 라인압을 생성하여 오일펌프의 효율을극대화 함으로써 전달 효율을 향상시켰다.또한 각 클러치나 브레이크에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함으로써 변속감을 향상시켰다.
유압제어 SYSTEM의 구성요소 및 작동
오일펌프(OIL PUMP)
오일 펌프는 토오크 컨버터와 유압제어 기구에 작동유압을 공급하여 유성기어 세트, 입력축, 각종 요소등의 마찰 부분에 윤활유압을 공급하고 있다.
밸브 바디(VALVE BODY)
VFS(Variable Force solenoid) 솔레노이드 밸브가 적용되어 변속기 효율이 향상되었으며 VFS로 인해 라인압 제어가 가능한 라인압 가변제어 밸브바디이다.
밸브바디 본체를 안쪽과 바깥쪽으로 2분할로 구성하여 유압회로를 간소화하였고 밸브의 종류를 최적화 하였다.
솔레노이드 밸브가 고장이 난 경우에도 페일세이프 밸브 및 스위치밸브의 움직임에 의해 3속 및 후진 주행이 가능하다.
즉 솔레노이드 밸브가 단선되어도 최소 전·후진은 가능하게 하였다.(페일 세이프 기능)
레귤레이터 밸브(REGULATOR VALVE)
레귤레이터 밸브는 오일펌프에 발생되는 유압을 LINE 압으로 조정하며 VFS에 의해 최적의 라인압을 생성시킨다.
토크 컨버터(T/C) 프레스 컨트롤 밸브
TORQUE CONVERTER PRESSURE CONTROL V/V는 T/C(DAMPER CLUTCH 해방시) 및 윤활유압을 조압한다.
댐퍼 클러치 컨트롤 밸브
댐퍼 클러치 제어밸브는 댐퍼 클러치에 작용하는 유압을 제어하고, 댐퍼 클러치제어 솔레노이드 밸브는 TCM신호에 의하여 전기신호를 유압신호로 변환한다.(ON시 작동/OFF시 비작동)
매뉴얼 밸브
매뉴얼 밸브는 운전석 SELECT 레버가 연동해서 각 SELECT 레버 위치마다 유로를 절환하여 각 밸브에 라인압 공급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 ― LR, UD 용 PCV : CLUTCH 유압해제시 유압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CLUTCH TO CLUTCH 제어시 입력축 회전수의 상승률을 억제하는 VALVE임.
― OD, 2ND용 PCV : LR, UD 용 PCV와 같은 기능을 실행하고 있음.
![]() SOLENOID VALVE는 TCM부터의 신호에 의해 DUTY 제어되어 전기신호를 유압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각 CLUTCH 및 BRAKE를 작동시킨다.
![]() VFS(Variable Force solenoid) 솔레노이드 밸브는 Linear Solenoid 라고도 하며 PWM(60Hz) 보다 세밀한 Duty(600±20Hz) 에 의해 Spool의 정밀제어를 한다.
스위치 밸브
FAIL SAFE시 LR 압력제어 밸브에서 LR브레이크 유압공급을 차단한다.
페일 세이프 밸브-A
FAIL SAFE 발생시에 LR BRAKE의 유압을 해방한다. 또한 해방시에는 LR BRAKE의 유로를 변경해서 더 빠른 변속을 실현 시킨다.
페일 세이프 밸브-B
FAIL SAFE 시 2ND 압력조절밸브로부터 2ND 브레이크의 유압을 차단한다.
어큐뮬레이터
어큐뮬레이터는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는 장치로서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작동유로에 설치되어 브레이크나 클러치에 공급되는 유압을 일시적으로 축적하여 클러치 및 브레이크가 급격히 작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부드러운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신세대 A/T는 독립제어를 실시하면서 각 SOLENOID VALVE작동시 맥동이 발생하는데 이를 흡수해주고 해제시 급격한 유압저하를 방지한다.(UD, OD, LR, 2ND, DIR, RED에 설치)
유압흐름도
P/N 레인지 유압 경로
P와 N 레인지는 유압경로가 동일하며, P/N레인지시 PCM은 L/R 솔레노이드 밸브를 정지시켜 L/R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유압도에서 보듯이 P/N레인지에서 오일은 L/R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하여 L/R프레셔 컨트롤 밸브 우측의 챔버(CHAMBER)로공급되며, 동시에 L/R프레셔 컨트롤 밸브의 L/R브레이크 공급 PORT에 대기하고 있다. 매뉴얼 밸브에서 나온 또다른 유압은 리덕션 솔레노이드 밸브 (RED Sol.vavle)와 리덕션 프레셔 컨트롤 밸브 (RED PCV)를 통과한 후 스위치 밸브 우측으로 공급되어 스위치 밸브를 왼쪽으로 밀어 L/R브레이크의 오일 공급 PORT를 열고있다. 또 RED 솔레노이드 밸브와 PCV를통해 RED브레이크도 작동시킨다.
그러므로 L/R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과한 오일은 L/R프레셔컨트롤 밸브를 왼쪽으로 밀게되며, 이와 동시에 L/R브레이크 공급 PORT를 통하여 스위치 밸브와 페일세이프 밸브 A를 지나 L/R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P/N레인지에서 L/R브레이크가 작동하는 이유는 P→R, N→R 변속시나 N→D변속시 작동요소가 모두 L/R브레이크가 작동해야 하므로 미리 작동시켜 놓은 것이다. 이렇게 하므로서 전진이나 후진시 나머지 해당 요소 클러치1개만 더 작동시키면 되므로 응답성이나 변속 쇼크를 줄이는 CONTROL을 쉽게 할수 있기 때문이다.
VFS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라인압을 최소화함에 따라 오일펌프 의 부하도 작아지므로서 불필요한 엔진의 동력손실을 최대한 줄이도록 컨트롤 되는것이다.
P/N
D레인지 1속 유압 경로
D레인지 1속시는 UD클러치, L/R 브레이크, RED 브레이크, 원웨이 클러치(OWC)가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PCM은 UD, L/R, RED 솔레노이드를 정지시켜 UD 클러치와 RED 브레이크와 L/R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D1속에서 OWC와 L/R브레이크가 같이 사용되는 이유는 차량이 정지한상태에서 출발하는 경우에는 큰 구동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로서 각 작동요소의 결속력 또한 커야 하므로 출발 초기에 L/R브레이크를 작동시켜 강력한 체결력을 유지시키고, 차량이 출발한 후에는 L/R클러치를 해제시켜 원웨이클러치가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 것이다.
유압도는 D레인지 1속에서 공급되는 오일경로이다. L/R브레이크는 P/N레인지에서 L/R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경로와 동일하며 UD 클러치는 오일이 매뉴얼밸브와 UD프레셔 컨트롤 밸브로 공급되어 작동하게 된다. 이때 UD 솔레노이드 밸브는 정지된 다음, 유압을 UD PCV 우측으로 공급한다.
그러면 UD프레셔 밸브는 왼쪽으로 밀려 UD 클러치의 오일 공급 PORT를 열게 되며, 이때 매뉴얼 밸브를 지나 UD프레셔 밸브에 대기하고 있던 또다른 라인압력의 오일이 통과되어 UD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단, P/N 레인지에서 L/R 브레이는 작동력이 낮아도 되지만 D1속에서는 작동력이 커야 한다.
P/N 레인지에서와 마찬가지로, 매뉴얼 밸브에서 나온 유압은 RED 솔레노이드 밸브와 RED PCV를 통해 RED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VFS 밸브는 유로를 Spool(유압 포트를 개폐)이 방해하는 정도에 따라 작동유량이 결정되며 D 레인지시 변속중에는 최대치 라인압을 유지하고 변속이 아닌 일반 주행시에는 적정압을 유지시킨다.
VFS는 최적의 변속감에 맞춰 라인압력을 제어하므로 전달 효율을 높여준다.
D(1속)
D레인지 2속 유압 경로
D레인지 2속시는 UD클러치, 2ND브레이크, RED 브레이크가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PCM은 UD/ 2ND/ RED 솔레노이드를 정지시켜 UD클러치와 2ND브레이크와 RED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유압도는 D레인지 2속에서 공급되는 오일경로이다. 매뉴얼 밸브까지의 오일 경로는 D레인지 1속과 동일하며, UD클러치와 RED 브레이크는 1속에서 작동하고 있었으므로 오일의 경로 변화는 없다.
2ND 브레이크의 작동유압 경로는 오일이 매뉴얼 밸브를 지나 2ND프레셔 컨트롤 밸브에 공급된다. 한편 리듀싱 밸브 (REDUCING VALVE)에서 나온 오일은 정지 상태의 2ND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서 2ND PCV 우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2ND프레셔 밸브는 왼쪽으로 밀려 2ND브레이크의 오일 공급 PORT를 열게 되며, 이때 매뉴얼 밸브를 지나 2ND 프레셔 밸브에 대기하고 있던 또다른 라인압력의 오일이 통과되어 2ND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페일 세이프 밸브-B는 매뉴얼 밸브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이미 열려 있으므오 곧바로 2ND 브레이크로 유압이 전달된다.
또한 1속에서 작동하던 L/R브레이크는 2속이상이 되면 L/R솔레노이드가 작동하여 L/R프레셔컨트롤 밸브는 공급 PORT를닫는다. 그러므로 페일세이프 밸브 A와 스위치 밸브가 왼쪽으로 밀려 L/R브레이크의 작동 PORT를 모두 열어 놓아도 오일은 공급되지 않아 D2속에서는 L/R브레이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VFS 밸브는 유로를 Spool(유압 포트를 개폐)이 방해하는 정도에 따라 작동유량이 결정되며 D 레인지시 변속중에는 최대치 라인압을 유지하고 변속이 아닌 일반 주행시에는 적정압을 유지시킨다.
VFS는 최적의 변속감에 맞춰 라인압력을 제어하므로 전달 효율을 높여준다.
D(2속)
D레인지 3속 유압 경로
D레인지 3속시는 UD클러치, OD클러치, RED 브레이크가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PCM 은 UD,OD, RED 솔레노이드를 정지시켜 UD클러치와 OD클러치 그리고 RED 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유압도는 D레인지 3속에서 공급되는 오일경로이다. 매뉴얼 밸브까지의 오일 경로는 D레인지 1속과 동일하며, U/D 클러치와 RED브레이크는 1, 2속에서 작동하고 있었으므로 오일의 경로 변화는 없다.
OD 클러치의 작동유압 경로는 매뉴얼 밸브에서 나온 유압이 OD PCV와 리듀싱 밸브로 공급되고, 리듀싱 밸브로부터 나온 유압이 정지 상태에 있는 OD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OD프레셔 컨트롤 밸브의 우측 챔버에공급된다.
그러면 OD프레셔 밸브 는 왼쪽으로 밀려 OD클러치의 오일 공급 PORT를 열게 되며, 이때 매뉴얼 밸브를 지나 OD프레셔 밸브 에 대기하고 있던 또다른 라인압력의 오일이 통과되어 OD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VFS 밸브는 유로를 Spool(유압 포트를 개폐)이 방해하는 정도에 따라 작동유량이 결정되며 D 레인지시 변속중에는 최대치 라인압을 유지하고 변속이 아닌 일반 주행시에는 적정압을 유지시킨다.
VFS는 최적의 변속감에 맞춰 라인압력을 제어하므로 전달 효율을 높여준다.
D(3속)
D레인지 4속 유압 경로
D레인지 4속시는 OD클러치, 2ND브레이크, RED브레이크가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PCM은 OD, 2ND솔레노이드, RED브레이크를 정지시켜 OD클러치와 2ND브레이크와 RED 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유압도는 D레인지 4속에서 공급되는 오일경로이다. 매뉴얼 밸브까지의 오일 경로는 D레인지 1속과 동일하며, OD클러치 와 RED브레이크는 3속에서 작동하고 있었으므로 오일의 경로 변화는 없다.
2ND 브레이크의 작동유압 경로는 2속시와 같이 오일이 매뉴얼 밸브를 지나 2ND프레셔 컨트롤 밸브에 공급된다. 한편 리듀싱 밸브(REDUCING VALVE)에서 나온 오일은 정지상태에 있는 2ND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서 2ND PCV 우측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2ND프레셔 밸브는 왼쪽으로 밀려 2ND브레이크의 오일 공급 PORT를 열게 되며, 이때 매뉴얼 밸브를 지나 2ND프레셔 밸브에 대기하고 있던 또다른 라인압력의 오일이 통과되어 2ND클러치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때 페일 세이프 밸브-B는 매뉴얼 밸브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이미 열려 있으므오 곧바로 2ND 브레이크로 유압이 전달된다.
VFS 밸브는 유로를 Spool(유압 포트를 개폐)이 방해하는 정도에 따라 작동유량이 결정되며 D 레인지시 변속중에는 최대치 라인압을 유지하고 변속이 아닌 일반 주행시에는 적정압을 유지시킨다.
VFS는 최적의 변속감에 맞춰 라인압력을 제어하므로 전달 효율을 높여준다.
D(4속)
D레인지 5속 유압 경로
D레인지 5속시는 2ND브레이크, OD클러치, 다이렉트 클러치(DIR)가 작동해야 한다. 그러므로 PCM은 2ND/ OD 솔레 노 이드 밸브를 정지시켜 OD클러치와 2ND브레이크에 오일을 공급한다. 이때 LR솔레노이드도 스위치 밸브를 통해서 페일 세 이프 밸브 C에 오일 공급 가능하도록 정지된다.
OD 클러치와 2ND 브레이크는 4속에서 각각 작동되는 경로와 동일한다.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온 오일이 페일 세이프 밸브 C의 우측으로 공급되어, 스위치 밸브로부터 전달되어온 오일의 경로를 열어 DIR 클러치까지 유압이 작동되도록 한다.
D(5속)
R레인지
R레인지는 REV클러치와 L/R클러치와 RED 브레이크가 작동해야 한다. REV클러치는 다른 클러치와 다르게 해당 솔레노이드가 컨트롤하여 오일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매뉴얼 밸브가 R위치에 오게 되면 바로 클러치까지 오일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즉 R레인지가 되면 솔레노이드 작동과는 관계없이 REV클러치는 작동되는 것이다.
L/R브레이크와 RED브레이크는 P/N레인지에서 작동시키는 경로와 동일하다.
후진시 차량은 가장 큰 토크가 필요하므로 클러치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라인압력도 높아야 한다. 전체 라인압력을 높이려면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 우측 챔버로 작동되는 유압을 줄여야 하는데 R레인지시 매뉴얼 밸브의 이동에 의해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 의 우측 챔버에 공급되는 유로 중 일부를 막도록 설계되어있다.
이렇게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 우측챔버에 공급되는 오일을 막게 되면 스프링 장력의 반대되는 힘이 줄어드는 것이므로 전체 라인압력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후진
입출력 신호 체크 시트
주1) 전원단 Surge 측정시 장비 환경 : Falling Edge -70V, Rising Edge : 70V, 측정 시간 : 0.1 us/div.
주2) 신호단 Surge 측정시 장비 환경 : Falling Edge -25V, Rising Edge : 25V, 측정 시간 : 0.1 us/div.
주3)
입출력 신호 체크 시트
주1) 전원단 Surge 측정시 장비 환경 : Falling Edge -70V, Rising Edge : 70V, 측정 시간 : 0.1 us/div.
주2) 신호단 Surge 측정시 장비 환경 : Falling Edge -25V, Rising Edge : 25V, 측정 시간 : 0.1 us/div.
주3)
솔로레이드밸브
각종 센서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이용하여 TCM에서 최적조건을 연산하고, 그 정보를 유압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달하면 구동신호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에 의하여 밸브 바디내의 각종 레귤레이터 밸브를 제어하여 유로를 변경함으로써 자동 변속 및 라인압을 제어한다.
● PWM (Pulse Width Modulation) 솔레노이드 밸브
구성 및 세부 기능
6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어 있으며 TCM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전기적인 듀티량으로 받아 솔레노이드 밸브 내에서 유압량으로 바꾸어 준다. 밸브바디 및 토크 컨버터에서 유압으로 댐퍼 클러치 작동, 해방을 시키거나 각 단에서 작동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로 작동유압을 보내고 변속시 작동하는 클러치 및 브레이크의 유압세기를 조절하여 충격을 완화한다.
PWM (Pulse Width Modulation) 솔레노이드 작동
제어 특성으로는 듀티비에 따라서 솔레노이드 밸브에 공급되는 압력을 선형적으로 제어한다.
VFS(Variable Force Solenoid)
레귤레이터 밸브를 제어하여 전 스로틀 구간 및 전 변속단에서 라인압을 4.5~10.5bar 까지 가변시킨다.
인가전류에 따라서 0 ~ 6.5 kgf/cm² 를 선형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알 수 있음.
자동변속기 컨트롤 시스템 시프트레버
장착은 탈거의 역순으로 한다.
변속레버 장착후 아래와 같이 작동점검을 실시한다.
입력축 속도 센서 작동 원리
입력축 속도 센서 점검 요령
출력축 속도 센서 작동 원리
출력축 속도 센서 점검 요령
변속기 오일온도센서
유온 센서 온도별 저항
|
탈거 |
1. |
배터리 터미널을 탈거한다. |
2. |
차량을 들어올린다. |
3. |
언더커버를 탈거한다. |
4. |
드레인 플러그를 풀고 트랜스액슬 오일을 빼낸다. |
5. |
밸브 바디 커버를 탈거한다. |
6. |
유온센서 커넥터를 분리하고, 유온센서(A)를 탈거한다.
|
장착 |
1. |
유온센서(A) 밸브바디에 장착하고, 커넥터를 장착한다.
|
2. |
밸브 바디 커버에 액상 가스켓을 2.5mm의 굵기로 그림과 같이 끊김없이 도포한다.
|
3. |
밸브 바디 커버를 끼운 후 장착볼트를 체결토크로 체결한다.
|
4. |
드레인 플러그를 장착하고 오일을 보충한다.
|
5. |
탈거의 역순으로 장착한다 |
인비히터 스위치
개요
센서 형식 |
| ||||||
기능 |
운전자 요구에 따른 레버 작동(레버의 위치)을 트랜스미션에 전달하여 시동시 작동제어 (전원 공급 및 차단), 후진시 백업 램프 점등, 주행시 레버의 위치를 TCM에 전달하여 기어의 물림을 제어한다. |
인히비터 스위치 커넥터 형상 및 단자간 접속 |
탈거 |
1. |
배터리 터미널을 탈거한다. |
2. |
배터리와 배터리 트레이를 탈거한다. |
3. |
에어클리너 어셈블리를 탈거한다. (자동변속기 탈거/장착 참조) |
4. |
인히비터 스위치 커넥터(A)를 탈거한다.
|
5. |
매뉴얼 컨트롤 레버에서 컨트롤 케이블을(A)를 탈거한다.
|
6. |
인히비터 스위치(A)와 매뉴얼 컨트롤 레버(B)를 탈거한다.
|
장착 |
1. |
인히비터 스위치를 N 레인지에 맞춘다. |
2. |
인히비터 스위치 컨트롤 샤프트를 N 레인지에 맞춘다. |
3. |
인히비터 스위치와 매뉴얼 컨트롤 레버를 장착한다.
|
4. |
컨트롤 케이블을 매뉴얼 컨트롤 레버에 장착한다. |
5. |
인히비터 스위치 커넥터를 장착한다. |
6. |
탈거의 역순으로 장착한다. |
7. |
장착 완료 후 이그니션 스위치를 ON 시킨다.
변속레버를 P 레인지에서 L 레인지까지 움직이며 변속레버와 미터 세트상의 변속 레인지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
'자동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싼타페CM 예열시스템 (0) | 2009.11.10 |
---|---|
[스크랩] 싼타페CM 연료장치 (0) | 2009.11.10 |
[스크랩] 싼타페CM 서스팬션 시스템 (0) | 2009.11.10 |
[스크랩] 싼타페CM 트랜스퍼 시스템 (0) | 2009.11.10 |
[스크랩] 싼타페CM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 (0) | 2009.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