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보

[스크랩] 싼타페CM 에어백 시스템

연두무침 2009. 11. 10. 21:04

일반사항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 충돌시 운전석 및 조수석에 장치되어 있는 에어백을 작동시켜 운전자 및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트 벨트 보조장치(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 SRS)이다.
SRS 에어백은 운전석 에어백 모듈, 조수석 에어백 모듈, 운전석 및 조수석 벨트 프리텐셔너, 운전석 및 조수석, 좌우에 위치한 측면 에어백 및 커튼 에어백을 제어하는 플로워 콘솔 박스 하단에 위치한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스티어링 컬럼에 위치한 클럭스프링, 정면 충돌을 감지하는 정면 충돌 센서, 측면 충돌을 감지하는 측면 충돌 센서, 계기판에 위치한 에어백 경고등 및 에어백 시스템 와이어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작업을 올바른 절차에 따라 행하지 않으면 에어백 시스템이 정비 중에 예상치 않게 팽창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다. 또한 에어백 시스템 정비중 실수하면 필요한 경우에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부품의 탈거,장착 검사,교환을 포함하는)정비 전에 다음 항목을 주의 깊게 숙지한다.

1.
점화스위치를 LOCK 위치로 돌리고 배터리 케이블의 (-)단자를 분리하고 약 30초 이상 기다린 후 에어백 관련작업을 수행한다. 백업 전원은 약 150ms간 유효하다.
배터리 케이블의 (-)단자를 분리할 때 시계와 오디오 시스템의 메모리도 지워지므로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오디오 메모리 시스템에 입력된 내용을 기록해 놓는다. 작업이 끝나면 오디오 시스템을 다시 설정하고 시계를 맞춘다.
2.
에어백 시스템의 기능장애 증상은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고장수리시에는 진단 코드가 가장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3.
에어백 시스템의 고장을 수리할 때 배터리를 분리하기 전에 항상 진단 코드를 검사한다.
4.
다른 차량의 에어백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부품 교환시에는 신품으로 교환한다.
5.
모든 에어백 모듈과 클럭 스프링 및 와이어링을 재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해 또는 수리하지 않는다.
6.
에어백 부품을 떨어뜨리거나 케이스, 브래킷, 커넥터에 균열, 흠 또는 기타 결함이 발생한 경우 신품으로 교환한다.

7.
에어백 시스템의 작업이 완료되면 경고등 점검을 수행한다. 일부 경우 에어백 경고등의 작동이 기타 회로 결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 경고등이 켜지면 퓨즈를 포함한 문제부품을 수리 또는 교환한 후 하이스캔을 사용하여 고장 진단 코드를 삭제한다.
8.
본체를 용접하는 경우 반드시 배터리 케이블의 (-) 단자를 분리한다.

에어백 취급 및 보관

1.
에어백을 분해하지 않는다.
에어백은 한번만 전개를 함으로 수리 또는 재생하지 못한다.
2.
에어백 모듈을 일시적으로 보관할 경우에는 다음 주의사항을 반드시 준수한다.
A.
에어백 모듈 탈거시 또는 신품 에어백 모듈은 패드 상부면이 위를 향하도록 보관한다. 이 경우 이중 잠금식 커넥터 잠금 레버는 잠금 상태이어야 하고 커넥터가 손상되지 않도록 위치하여야 한다.
B.
에어백 모듈이 오일,그리스,세정제 및 물 등으로 인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한다.

C.
에어백 모듈을 주위 온도가 85°C(185°F)이하이고 습도가 높지 않고 전기적 잡음이 없는 곳에 보관한다.
D.
에어백 스퀴브(SQUIB) 커넥터의 저항을 측정하지 않는다.
(에어백이 작동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하다.)
E.
에어백 모듈 앞에서 모듈의 탈거,검사,교환등을 하지 않는다.
F.
손상된 에어백 모듈의 처분은 폐기절차에 따른다.
G.
점화 스위치가 켜졌을 때, SRSCM 또는 충돌 센서가 충돌하거나 부딪치지 않도록 주의한다.
점화 스위치가 꺼지고 난후,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적어도 30초 이상을 기다린다.
H.
장착 또는 교환시, SRSCM 주위와 충돌 센서가 충돌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에어백이 갑작스럽게 전개 될 수 있으며, 손상 및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I.
SRSCM 또는 충돌 센서는 분해하지 않는다.
J.
점화 스위치를 끄고 배터리의 (-)케이블을 분리한다.
SRSCM의 교환 또는 장착 작업을 하기 전에 최소 30초 이상을 기다린다.
K.
SRSCM과 충돌 센서가 확실히 장착되었는지 확인한다.
L.
SRSCM 또는 충돌 센서가 물, 먼지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M.
SRSCM과 충돌 센서는 시원하고(40°C이하) 건조한(습도 80%이하,수분 없는 곳) 곳에 보관한다.

와이어링 주의사항
에어백 와이어링은 노란색 튜브에 싸여 있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프런트 시트 아래의 에어백 회로 제외)
다음 아래에서 설명된 주의사항을 준수한다.

-
절대 에어백 와이어링을 다시 연결하거나 수리하지 않는다. 에어백 와이어링이 손상되었다면 하니스를 교환한다.

-
하니스 와이어를 장착할때 하니스 와이어가 물리거나 다른 부품들과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
에어백 접지 부위를 깨끗하게 한다. 그리고 접지는 금속면과 금속면으로 알맞게 고정시킨다. 접지 불량은 진단하기 힘든 간헐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점검시 주의 사항

-
테스트 장비를 사용할 때, 커넥터 와이어쪽으로 테스터 프로브를 넣는다. 테스터 프로브를 커넥터의 터미널쪽으로 넣지 않는다.
커넥터를 함부로 건드리지 않는다.

-
U자 모양의 프로브를 사용하고 프로브를 강제적으로 삽입하지 않는다.
-
고장진단 시 규정 공구를 사용한다. 부적절한 공구를 사용하면 검사시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에어백 커넥터 주의사항
분리
커넥터를 분리하기 위해, 커넥터를 잡고 반대쪽에서 스프링 장착 슬리브(A)와 슬라이더(B)를 당겨 커넥터를 분리한다. 커넥터를 잡아 당기는 것이 아니라 슬리브를 당기는 것에 주의한다.

연결
슬리브 쪽 커넥터의 돌출부(C)가 딸깍소리를 내며 잠길 때까지 양쪽 커넥터를 잡고 단단히 민다.

약어

명칭
약어
영문 명칭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
SRSCM
SRS Control Module
운전석 에어백
DAB
Driver airbag
조수석 에어백
PAB
Passenger Airbag
측면 에어백
SAB
Side Airbag
커튼 에어백
CAB
Curtain Airbag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BPT
Seat Belt Pretensioner
정면 충돌 센서
FIS
Front Impact Sensor
측면 충돌 센서
SIS
Side Impact Sensor

특수공구
공구 (품번 및 품명)
형 상
용 도
에어백 전개용 공구
0957A-34100A

전개되지 않은 에어백 모듈의 전개시 사용
전개어댑터
0957A-3F100

PAB, SAB, CAB의 전개시 사용
0957A-34100A 같이 사용
전개어댑터
0957A-38500

DAB, BPT의 전개시 사용
0957A-34100A와 같이 사용
더미
0957A-38200

에어백 모듈의 점검에 사용
더미 어댑터
0957A-3F000

PAB, SAB, CAB의 점검에 사용
0957A-38200과 같이 사용
더미 어댑터
0957A-2G000

DAB, BPT의 점검에 사용
0957A-38200과 같이사용
에어백 경고등 작동 조건 및 작동 상태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은 전원이 입력되면 에어백 시스템의 이상 유무를 감지하여 에어백 경고등을 점등시킨다.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일 경우에는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된다. 에어백 시스템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6초간 점등되었다가 1초간 소등된 후 계속 점등된다.
1.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인 경우

2.
에어백 시스템에 고장이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에어백 경고등이 계속 점등하게 된다.
-
에어백 시스템의 현재 고장 또는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의 내부 고장이 있는 경우
-
충돌 고장 코드가 있는 경우
-
동일 고장 코드가 10회 이상 발생한 경우
-
10개 이상의 다른 종류의 고장 코드가 발생한 경우
-
진단 기기를 사용하여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과 통신 중일 때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이 작동하지 못하는 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에어백 경고등 작동을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 에어백 경고등은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과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회로를 통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경우가 된다.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의 배터리 전원 손실 : 에어백 경고등 계속 점등
-
내부 작동 전압의 손실 : 에어백 경고등 계속 점등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 작동 손실 : 에어백 경고등 계속 점등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 미연결 시 : 단락바를 통해서 에어백 경고등 계속 점등
부품위치

운전석 에어백 (DAB) / 조수석 에어백 (PAB)

측면 에어백 (SAB)

커튼 에어백 (CAB)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BPT)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 (SRSCM)

정면 충돌 센서 (FIS)

측면 충돌 센서 (SIS)

에어백 시스템 전개 후 부품 교환
에어백관련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하이 스캔 프로를 이용하여 고장진단코드를 확인하고, 고장진단코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련 작업을 실시한다.
충돌 후 정면 에어백이 전개되었을 때는 아래 부품을 교환한다.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
전개된 에어백
-
점화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
정면 충돌 센서
-
에어백 와이어링 하니스
-
운전석 에어백 전개시 클럭 스프링의 손상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으면 교환한다.
충돌 후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가 전개되었을 때는 아래 부품을 교환한다.
-
전개된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B1658 검출 시)
-
정면 충돌 센서
-
에어백 와이어링 하니스
충돌 후 측면 에어백/커튼 에어백이 전개되었을 때는 아래 부품을 교환한다.
-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
전개된 에어백
-
전개된 쪽의 측면 충돌 센서
-
에어백 와이어링 하니스
차량을 수리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한다. 에어백 경고등은 약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제원
항 목
점화 회로 저항(Ω)
운전석 에어백(DAB)
1.4 ~ 6.2
조수석 에어백(PAB)
1.4 ~ 6.2
측면 에어백(SAB)
1.4 ~ 6.2
커튼 에어백(CAB)
1.4 ~ 6.2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BPT)
1.4 ~ 6.2

조임토크
항 목
kgf.m
N.m
lbf.ft
운전석 에어백(DAB)
0.8 ~ 1.1
7.9 ~ 10.8
5.8 ~ 8.0
조수석 에어백(PAB)
1.9 ~ 2.7 (볼트)
0.9 ~ 1.4 (너트)
18.6 ~ 26.5
8.8 ~ 13.7
13.7 ~ 19.5
6.5 ~ 10.1
커튼 에어백(CAB)
1.1 ~ 1.5
10.9 ~ 14.7
8.0 ~ 10.8
측면 에어백(SAB)
0.7 ~ 0.9
7.0 ~ 9.0
5.2 ~ 6.6
시트 벨트 (BPT) 앵커 볼트
4.0 ~ 5.5
39.2 ~ 53.9
28.9 ~ 39.8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 (SRSCM) 장착 볼트
0.7 ~ 0.9
6.8 ~ 9.2
5.0 ~ 6.8
정면 충돌 센서(FIS) 장착 볼트
0.7 ~ 0.9
6.8 ~ 9.2
5.0 ~ 6.8
측면 충돌 센서(SIS) 장착 볼트
0.7 ~ 0.9
6.8 ~ 9.2
5.0 ~ 6.8


에어백 시스템 제어장치

에어백 회로도(1)

에어백 회로도(2)


개요

하이스캔 체크

1.
시동 스위치를 OFF에 위치 시킨다.
2.
크래쉬 패드 로워 판넬 아래쪽에 있는 데이타 링크 커넥터에 하이스캔 커넥터를 연결한다.

3.
시동 스위치를 ON 시킨 후 하이스캔을 켠다.
4.
자기진단 코드를 점검한다.
5.
문제를 발견 보수·수정 후 하이스캔을 사용하여 문제가 생긴 코드를 삭제한다.
6.
하이스캔을 분리한다.

고장진단의 기본적 흐름도

● 커넥터 및 터미널 점검
커넥터 연결 상태나 커넥터 단자의 이상은 다른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하므로 고장 코드가 발생하면 고장 진단을 실시하기 전에 항상 커넥터 점검을 먼저 실시한다.

1.
고장 코드와 관련된 회로의 모든 커넥터의 연결 상태와 손상 유무를 눈으로 점검한다.
2.
커넥터 단자의 손상 및 오염이나 부식 등을 점검한다.
점검 중에 커넥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한다.
3.
커넥터 및 단자의 이상은 없는가?

▶ 이상이 없으면 다음 단계의 "진단 절차"를 실시한다.

▶ 이상이 있으면 이상이 있는 부위를 수리한 후 고장 코드가 발생하는지 점검한다.

● 고장 진단 준비
각 각의 고장진단코드(DTC)별 진단 절차를 수행하기 전에 다음 사항들을 실시하여 고장 진단을 준비한다.

1.
점화스위치를 "LOCK"으로 한다.
2.
배터리에서 (-) 단자를 분리하고, 최소한 3분 정도 기다린다.
3.
운전석 에어백 (DAB) 모듈을 분리하고, DAB 커넥터를 분리한다.
4.
조수석 에어백 (PAB), 측면 에어백 (SAB), 커튼 에어백 (CAB),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BPT), 정면 충돌 센서(FIS) 및 측면 충돌 센서(SIS) 커넥터를 분리한다.
5.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커넥터를 분리한다.

● 단선 및 단락 회로 점검
단선 및 단락 회로 점검 시 다음 사항을 참고한다.

1.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유닛의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에는 단락바가 커넥터 A의 1번과 2번 핀 상부에 있다.
2.
단락 회로 점검 시 플라스틱 클립 등을 해당 핀에 끼워서 단락바의 단락을 해제시킨다.
3.
운전석 에어백, 벨트 프리텐셔너의 단선 및 단락 회로 점검을 위한 저항 및 전압 측정 시 더미 어댑터(0957A-2G000)를 커넥터에 끼워서 측정하면 커넥터 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 고장코드 삭제 후 차량 재점검

1.
운전석 에어백(DAB) 모듈을 장착하고, DAB 커넥터를 연결한다.
2.
PAB, SAB, CAB, BPT, SIS 및 FIS 커넥터를 연결한다.
3.
SRSCM 커넥터를 연결한다.
4.
배터리 (-)케이블을 배터리에 연결한다.
5.
고장 진단 장비를 진단 커넥터(DLC)에 연결한다.
6.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한다.
7.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SRSCM에 저장된 고장 코드(DTC)를 삭제한다.
8.
점화스위치를 "LOCK"으로 한 후, 최소한 30초 정도 기다린다.
9.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한 후, 최소한 30초 정도 기다린다.
10.
고장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차량을 재점검한다.
상기 고장코드(DTC)가 해결되었는가?

▶ 상기 고장은 간헐적인 문제이거나, 해결된 문제이나 SRSCM 메모리에서 삭제되지 않은 경우이다.

▶ SRSCM을 정상 제품으로 교환 후, 차량을 다시 점검한다. 이 때 차량이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면, 상기 고장코드의 원인은 SRSCM이므로 SRSCM을 교체한다.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커넥터 단자 기능

SRSCM 하니스 커넥터

자기 진단 고장 코드 (DTC)

DTC
고장 내용
비고
B1101
시스템 전원 높음
 
B1102
시스템 전원 낮음
 
B1326
운전석 정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327
운전석 정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328
운전석 정면 충돌 센서 고장
 
B1329
운전석 정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330
운전석 정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331
조수석 정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332
조수석 정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333
조수석 정면 충돌 센서 고장
 
B1334
조수석 정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335
조수석 정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346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347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348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349
운전석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352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353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354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355
조수석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361
운전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저항 과대
 
B1362
운전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저항 과소
 
B1363
운전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접지 단락
 
B1364
운전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전원 단락
 
B1367
조수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저항 과대
 
B1368
조수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저항 과소
 
B1369
조수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접지 단락
 
B1370
조수석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회로 전원 단락
 
B1378
운전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379
운전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380
운전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381
운전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382
조수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383
조수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384
조수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385
조수석 측면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395
점화 회로 상호 단락
 
B1400
운전석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01
운전석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02
운전석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03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04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05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09
운전석 측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410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412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413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통신 이상
 
B1414
운전석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5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6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7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8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19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51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52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54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55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73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474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475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476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477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478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479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480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620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내부 고장 (SRSCM 교환)
 
B1650
정면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1
운전석 측면 에어백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2
조수석 측면 에어백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7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충돌 발생 기록됨
 
B1658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6회 점화
 
B2500
에어백 경고등 고장
 
B1415
조수석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6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7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이종 사양
 
B1418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19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고장
 
B1451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52
운전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54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접지 단락
 
B1455
조수석 뒤 측면 충돌 센서 회로 전원 단락
 
B1473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474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475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476
운전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477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대
 
B1478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저항 과소
 
B1479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접지 단락
 
B1480
조수석 커튼 에어백 회로 전원 단락
 
B1620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내부 고장 (SRSCM 교환)
 
B1650
정면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1
운전석 측면 에어백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2
조수석 측면 에어백 충돌 발생 기록됨 (SRSCM 교환)
 
B1657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충돌 발생 기록됨
 
B1658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6회 점화
 
B2500
에어백 경고등 고장
 

개요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 Supplemental Restraint System Control Module)은 에어백 모듈과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전개 여부와 전개 시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이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전개 시점에서 전개에 필요한 전원을 모듈 점화장치에 공급하며, 에어백 시스템의 자기 진단 기능도 수행한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아래 부품을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A.
플로어 콘솔 박스
B.
히터 덕트(좌, 우)

3.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 커넥터의 잠금 레버를 당긴 후 커넥터를 분리한다.

4.
SRSCM 장착 볼트(4개)를 푼 후 SRSCM을 분리한다.
SRSCM 커넥터에 손상이 가지않도록 주의한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을 위치시키고 SRSCM 장착 볼트(4개)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0.7 ~ 0.9 kgf.m

3.
SRSCM 커넥터를 SRSCM에 끼우고 잠금 레버를 밀어서 커넥터를 확실하게 연결시킨다.

4.
아래 부품을 장착한다.(BD 그룹 참고)
A.
히터 덕트(좌, 우)
B.
플로어 콘솔 박스

5.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6.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을 장착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정면충돌감지센서

개요

정면 충돌 센서 (FIS: Front Impact Sensor)는 엔진룸 좌우측 사이드 멤버 안쪽에 각각 1개씩 장착되어 있다. 정면 충돌 발생 시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은 정면 충돌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운전석 에어백, 조수석 에어백,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의 전개 여부와 전개 시기를 결정한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정면 충돌 센서 커넥터 커버를 분리한 후 커넥터를 분리한다.

3.
정면 충돌 센서 장착 볼트를 풀어 센서를 분리한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정면 충돌 센서를 장착 위치에 고정시키고 커넥터를 연결한다.

3.
정면 충돌 센서 커넥터 커버를 장착한다.

4.
정면 충돌 센서 장착 볼트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0.7 ~ 0.9 kgf.m

5.
배터리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6.
정면 충돌 센서를 장착한 후에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측면충동감지센서

개요

측면 충돌 센서 (SIS: Side Impact Sensor)는 좌우측 센터 필라 하단부와 좌우측 리어 필라 부근에 각각 1개씩 장착되어 있다. 측면 충돌 발생 시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은 측면 충돌 센서 신호를 이용하여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와 전개 시기를 결정한다.

부품위치

탈거

앞 측면 충돌 센서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아래의 부품을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A.
도어 스커프 트림
B.
센터 필라 트림
3.
측면 충돌 센서 장착 볼트를 풀어 센서를 분리한다.

뒤 측면 충돌 센서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뒷 좌석을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3.
측면 충돌 센서 장착 볼트를 풀어 센서를 분리한다.

장착

앞 측면 충돌 센서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측면 충돌 센서를 장착 위치에 잘 끼운다.
3.
측면 충돌 센서 장착 볼트를 체결하고 커넥터를 연결한다.

체결 토크 : 0.7 ~ 0.9 kgf.m

4.
센터 필라 트림과 도어 스커프 트림을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5.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6.
측면 충돌 센서를 장착한 후에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뒤 측면 충돌 센서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측면 충돌 센서를 체결 볼트로 장착한다.

체결 토크 : 0.7 ~ 0.9 kgf.m

3.
측면 충돌 센서에 커넥터를 연결한다.

4.
뒷 좌석을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5.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6.
측면 충돌 센서를 장착한 후에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에어백모듈

에어백 모듈 폐기 절차

에어백이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등의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폐차시킬 경우에는 에어백 장치를 반드시먼저 전개시켜야 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전개시키도록 하며사용된 에어백 장치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차량에 장착해서는 안된다.

에어백 장치가 전개될 때는 폭발음이 발생하므로 실외의 주위에 피해가 가지 않는 곳에서 실시한다.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때는 항상 지정된 특수공구를 사용하고, 전기적 잡음이 없는곳 에서 실시한다.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때는 에어백 장치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조작을 한다.
에어백 장치는 전개되면 매우 뜨거운 열이 발생하므로 최소 30분 정도 지나고 열이 식은 다음에 만지도록 한다.
전개된 에어백 장치를 취급할 때는 장갑과 보호 안경을 반드시 착용한다
전개된 에어백 장치에 물 등을 뿌리지 않도록 한다.
에어백 전개 작업이 끝난 후에는 항상 물로 손을 씻도록 한다.

차량 내부에서의 전개

1.
점화 스위치를 끄고 배터리 음극선을 분리한 후 최소 30초 이상 기다린다.
2.
각 각의 에어백 장치가 안전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다음과 같이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준비를 한다.
운전석 에어백 :
1.
운전석 에어백을 분리하고 전개용 어댑터(0957A-38500)를 연결한다.
2.
운전석 에어백을 스티어링 휠에 재장착 한다.
조수석 에어백 :
1.
글로브 박스를 분리하고 조수석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측면 에어백 :
1.
에어백 와이어 하니스에서 측면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커튼 에어백 :
1.
커튼 에어백 점검구를 열고 커튼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
1.
사이드 트림을 분리한 후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에 전개용 어댑터(0957A-38500)를 연결한다.
3.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를 차량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4.
전개용 어댑터에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0957A-34100A)를 연결한 후 전개용 외부 배터리에 연결한다.
5.
에어백 전개용 공구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킨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큰 소음이 발생하고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며, 급격히 팽창한 후 천천히 수축한다.
6.
전개된 에어백은 튼튼한 플라스틱 백에 넣어 안전하게 봉한 후 폐기시킨다.

차량 외부에서의 전개
폐기된 차량에서 분리되거나 운송 또는 보관중에 결함 및 손상이 발견된 에어백 장치는 다음과 같이 전개시킨다.

1.
에어백 장치의 전개되는 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실외의 편평한 곳에 위치시킨다.
2.
에어백 장치에 전개용 어댑터를 연결한다.
3.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를 에어백 장치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4.
전개용 어댑터에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0957A-34100A)를 연결한 후 전개용 외부 배터리에 연결한다.
5.
에어백 전개용 공구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킨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큰 소음이 발생하고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며, 급격히 팽창한 후 천천히 수축한다.
6.
전개된 에어백은 튼튼한 플라스틱 백에 넣어 안전하게 봉한 후 폐기시킨다.
에어백 모듈 폐기 절차

에어백이나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등의 에어백 장치가 장착된 차량을 폐차시킬 경우에는 에어백 장치를 반드시먼저 전개시켜야 한다. 또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경우에는 반드시 숙련된 기술자에 의해 전개시키도록 하며사용된 에어백 장치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차량에 장착해서는 안된다.

에어백 장치가 전개될 때는 폭발음이 발생하므로 실외의 주위에 피해가 가지 않는 곳에서 실시한다.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때는 항상 지정된 특수공구를 사용하고, 전기적 잡음이 없는곳 에서 실시한다.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때는 에어백 장치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조작을 한다.
에어백 장치는 전개되면 매우 뜨거운 열이 발생하므로 최소 30분 정도 지나고 열이 식은 다음에 만지도록 한다.
전개된 에어백 장치를 취급할 때는 장갑과 보호 안경을 반드시 착용한다
전개된 에어백 장치에 물 등을 뿌리지 않도록 한다.
에어백 전개 작업이 끝난 후에는 항상 물로 손을 씻도록 한다.

차량 내부에서의 전개

1.
점화 스위치를 끄고 배터리 음극선을 분리한 후 최소 30초 이상 기다린다.
2.
각 각의 에어백 장치가 안전하게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3.
다음과 같이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킬 준비를 한다.
운전석 에어백 :
1.
운전석 에어백을 분리하고 전개용 어댑터(0957A-38500)를 연결한다.
2.
운전석 에어백을 스티어링 휠에 재장착 한다.
조수석 에어백 :
1.
글로브 박스를 분리하고 조수석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측면 에어백 :
1.
에어백 와이어 하니스에서 측면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커튼 에어백 :
1.
커튼 에어백 점검구를 열고 커튼 에어백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에어백 전개용 어댑터(0957A-3F100)를 연결한다.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
1.
사이드 트림을 분리한 후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 2핀 커넥터를 분리한다.
2.
시트 벨트 프리텐셔너에 전개용 어댑터(0957A-38500)를 연결한다.
3.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를 차량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4.
전개용 어댑터에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0957A-34100A)를 연결한 후 전개용 외부 배터리에 연결한다.
5.
에어백 전개용 공구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킨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큰 소음이 발생하고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며, 급격히 팽창한 후 천천히 수축한다.
6.
전개된 에어백은 튼튼한 플라스틱 백에 넣어 안전하게 봉한 후 폐기시킨다.

차량 외부에서의 전개
폐기된 차량에서 분리되거나 운송 또는 보관중에 결함 및 손상이 발견된 에어백 장치는 다음과 같이 전개시킨다.

1.
에어백 장치의 전개되는 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실외의 편평한 곳에 위치시킨다.
2.
에어백 장치에 전개용 어댑터를 연결한다.
3.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를 에어백 장치에서 최소 10m 이상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4.
전개용 어댑터에 에어백 전개용 특수공구(0957A-34100A)를 연결한 후 전개용 외부 배터리에 연결한다.
5.
에어백 전개용 공구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에어백 장치를 전개시킨다.
에어백이 전개될 때 큰 소음이 발생하고 시각적으로 확인이 되며, 급격히 팽창한 후 천천히 수축한다.
6.
전개된 에어백은 튼튼한 플라스틱 백에 넣어 안전하게 봉한 후 폐기시킨다
개요

운전석 에어백 (DAB: Driver Airbag)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으며, 클럭스프링을 경유하여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방 충돌 발생시 에어백을 전개하여 운전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 모듈의 저항을 직접 측정해서는 안된다. 이는 예기치 않은 에어백 전개를 야기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하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에어백 모듈 장착 볼트(2개)를 푼다.

3.
에어백 모듈을 뒤집어 혼 커넥터(A)를 분리한다.

4.
에어백 모듈 커넥터 잠금핀을 뺀 후, 커넥터(B)를 분리하여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서 분리한다.
분리한 에어백 모듈은 커버측이 위를 향하도록 놓는다.
5.
스티어링 휠을 분리한다. (ST 그룹 참조)
6.
스티어링 휠 컬럼 커버 장착 나사를 푼 후 커버를 분리한다. (ST 그룹 참조)
7.
클럭 스프링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와 혼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를 클럭 스프링에서 분리한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클럭 스프링에 클럭 스프링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와 혼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를 연결한다.
3.
클럭 스프링을 위치시키고 정렬 마크를 일치시켜 중심 위치를 맞춘다.
4.
스티어링 컬럼 커버를 끼우고 장착 나사를 체결한다. (ST 그룹 참조)
5.
스티어링 휠을 장착한다. (ST 그룹 참조)
6.
에어백 모듈 커넥터 및 혼 커넥터를 에어백 모듈과 연결한다.
7.
에어백 모듈 장착 볼트(2개)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0.8 ~ 1.1 kgf.m

8.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9.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과 혼이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점검

에어백 모듈
점검 중 문제가 생긴 부품이 발견되었을 때 에어백 모듈을 신품으로 교환한다.

규정 테스터기를 사용할지라도 에어백 모듈 (점화) 회로 저항을 측정하지 말아야 한다. 테스터기로 회로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에어백 작동으로 심한 부상을 입을 수도 있다.
1.
에어백 모듈의 움푹 들어간 곳, 균열 또는 변형을 점검한다.
2.
후크 및 커넥터의 손상, 터미널의 손상 및 하니스의 묶음을 점검한다.
3.
에어백 인플레이터 케이스의 음푹 들어간곳. 균열 또는 변형을 점검한다.

4.
에어백 모듈을 스티어링 휠에 장착한 후 휠 얼라이먼트를 맞춘다.

클럭 스프링

1.
점검 후 한개라도 비정상적인 곳이 발견되면 신품으로 클럭 스프링을 교환한다

2.
커넥터와 보호 튜브의 손상 및 터미널 변형을 점검한다.

동승석에어백

개요

조수석 에어백 (PAB: Passenger Airbag)은 크래쉬 패드 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전방 충돌시 조수석 승객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에어백 모듈의 저항을 직접 측정해서는 안된다. 이는 예기치 않은 에어백 전개를 야기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하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글로브 박스를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3.
조수석 에어백 모듈 커넥터를 분리하고 모듈 장착 볼트(2개)를 푼다. (BD 그룹 참조)

4.
크래쉬 패드를 분리한다.(BD 그룹 참조)
조수석 에어백 전개로 크래쉬 패드가 손상되었을 경우 크래쉬 패드도 동시에 교환한다.

5.
히터 덕트를 크래쉬 패드에서 분리한다.

6.
조수석 에어백 모듈 장착 너트(4개)를 풀고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분리한다.
분리한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커버측이 위를 향하도록 놓는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조수석 에어백 모듈을 크래쉬 패드에 위치시키고 모듈 장착 너트(4개)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0.9 ~ 1.4 kgf.m

3.
히터 덕트를 크래쉬 패드에 장착한다.

4.
크래쉬 패드를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5.
조수석 에어백 모듈 장착 볼트(2개)를 체결하고 에어백 모듈 커넥터를 연결한다. (BD 그룹 참조)

체결 토크 : 1.9 ~ 2.7 kgf.m

6.
글로브 박스를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7.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8.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측면에어백

개요

측면 에어백 (SAB: Side Airbag)은 운전석 등받이 좌측과 조수석 등받이 우측에 각각 1개씩 내장되어 있으며, 측면 충돌 발생 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충돌 발생 시 좌우측 센터 필라 하단부와 리어 필라 부근에 1개씩 장착되어 있는 측면 충돌 센서(SIS)가 충돌을 감지하며, 이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이 측면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한다.

에어백 모듈의 저항을 직접 측정해서는 안된다. 이는 예기치 않은 에어백의 전개를 야기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하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앞 좌석을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3.
앞 좌석 등받이 커버 및 패드를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4.
측면 에어백 모듈 장착 너트를 풀고 에어백 모듈을 분리한다.

차량 충돌 후 에어백이 전개되어 에어백을 교체할 경우에는 좌석 등받이 일체로 교환한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측면 에어백 모듈을 좌석 등받이 프레임에 위치시키고 에어백 모듈 장착 너트(2개)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0.7 ~ 0.9 kgf.m

3.
앞 좌석 등받이 패드 및 커버를 장착한다.(BD 그룹 참조)
앞 좌석 등받이 커버의 부적절한 장착은 측면 에어백의 정상적인 전개를 방해하므로 앞 좌석 등받이 커버가 잘 장착되었는지 확인한다.

4.
앞 좌석을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5.
시트를 앞뒤로 끝까지 움직여 본 후, 배선이 끼이거나 다른 부품과 간섭이 생기지 않는지 확인한다.

6.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7.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커튼에어백

개요

커튼 에어백 (CAB: Curtain Airbag)은 루프 트림 좌우측 부분에 1개씩 내장되어 있으며, 측면 충돌 발생 시 탑승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충돌 발생 시 좌우측 센터 필라 하단부와 리어 필라 부근에 1개씩 장착되어 있는 측면 충돌 센서(SIS)가 충돌을 감지하며, 이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에어백 시스템 컨트롤 모듈(SRSCM)이 커튼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한다.

에어백 모듈의 저항을 직접 측정해서는 안된다. 이는 예기치 않은 에어백의 전개를 야기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하다.
부품위치


탈거
1.
배터리 (-) 케이블을 분리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아래의 부품을 분리한다. (BD 그룹 참조)
A.
사이드 트림
B.
루프 트림
3.
커튼 에어백 모듈에서 커넥터를 분리한다.

4.
커튼 에어백 모듈 장착 볼트(10개)를 풀고 커튼 에어백 모듈을 분리한다.

장착
1.
배터리 (-) 케이블이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케이블을 분리한 후 최소한 30초 이상 기다린다.
2.
커튼 에어백 모듈을 위치시키고 모듈 장착 볼트(10개)를 체결한다.

체결 토크 : 1.1 ~ 1.5 kgf.m

커튼 에어백 모듈을 장착 시 비틀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만약 커튼 에어백 모듈이 비틀리면은 정상적으로 전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3.
커튼 에어백 모듈 커넥터를 연결한다.
4.
아래 부품을 장착한다. (BD 그룹 참조)
A.
루프 트림
B.
사이드 트림
5.
배터리 (-) 케이블을 다시 연결한다.
6.
에어백 모듈을 장착한 후에는 에어백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점화스위치를 ON으로 하면 에어백 경고등이 6초간 점등되었다가 소등되어야 한다.

출처 : 시흥현대모터스
글쓴이 : young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