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두무침
2009. 11. 10. 21:06
공구 ( 품번 및 품명)
형상
용도
09351-4A300 인젝터 리무버
인젝터 탈거
09314-27110 (14mm) 09314-27120 (17mm) 토크 렌치 소켓
고압 파이프 플레어 너트 장착용
09310-2B100 연료 펌프 플레이트 커버 렌치
저압 연료 펌프 플레이트 커버 탈거 및 장착용
문제 분석 쉬트
기본 고장 진단
저항 점검 조건
차량 운전 후 고온에서 측정된 저항값은 낮게 또는 높게 나올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저항은 실온 (20°C)에서 측정해야 한다 (특정 온도를 명기한 경우는 해당 온도에서 측정).
실온(20°C)에 대한 저항값 이외의 다른 온도에 대한 저항값은 단순 참고치입니다.
간헐적인 문제 점검 절차
2.
커넥터의 연결 상태 및 각 단자의 결합 상태, 배선과의 연결 상태, 굽힘, 파손 또는 오염에 대하여 점검한다. 그리고 항상 커넥터의 고정 상태도 점검한다.
3.
와이어링 하니스를 상하좌우로 살짝 흔든다.
4.
결함이 있는 부품은 수리 또는 교환한다.
5.
진단 장비를 이용하여, 문제가 해결되었는지 점검한다.
1.
센서와 액츄에이터: 센서, 액츄에이터 또는 릴레이를 손으로 흔든다.
심한 진동은 센서, 액츄에이터 또는 릴레이에 손상을 줄 수 있으니, 삼가한다.
2.
커넥터와 와이어링 하니스: 커넥터 또는 와이어링 하니스를 상하좌우로 흔든다.
1.
헤어 드라이 등으로 해당 부품에 열을 가한다.
•
무리한 가열은 부품을 손상할 수 있으니 주의할 것.
1.
비오는 날이나 습기가 많은 날을 재현할 시에는 차량 주변에 물을 뿌려준다.
•
엔진 구성 부품이나, 전기 부품 등 수분에 민감한 부분에는 직접적으로 물을 뿌리지 말 것.
1.
전기를 사용하는 부품 (오디오, 냉각팬, 램프 등)을 작동시킨다.
커넥터 점검 절차
1.
커넥터 취급 방법
A.
커넥터 분리시, 커넥터를 당겨서 분리하고 와이어링 하니스를 당기지 않는다.
B.
락(Lock)이 부착된 커넥터 분리시, 락킹 레버 (Locking Lever)를 누르거나 당긴다.
C.
커넥터 연결 시, 장착음 ("딸깍")이 들리는지 확인한다.
D.
통전 상태 점검이나 전압 측정시, 항상 테스터 프루브를 와이어링 하니스측에 삽입한다.
E.
방수 처리된 커넥터의 경우는 와이어링 하니스측이 아닌, 커넥터 터미널측을 이용한다.
테스트 중, 커넥터 단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커넥터 점검 포인터
A.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을때: 커넥터의 연결 상태 및 락킹(Locking) 상태
B.
커넥터가 분리되어 있을때: 와이어링 하니스를 살짝 당겨서 단자의 유실, 주름 또는 내부 와이어 손상에 대하여 점검한다. 그리고 녹 발생, 오염, 변형 및 구부러짐에 대하여 육안으로 점검한다.
C.
단자 체결 상태: 단자(凹)와 단자(凸) 사이의 체결 상태를 점검한다.
D.
각각의 배선을 적당한 힘으로 당겨서, 연결 상태를 점검한다.
3.
커넥터 터미널 수리
A.
커넥터 터미널의 연결 부위를 에어건이나 샾타월로 세척한다.
커넥터 터미널에 사포를 이용할 경우 손상될 수 있으니 주의한다.
B.
커넥터간의 체결력이 부족할 경우는 터미널(凹)을 수리 또는 교체한다.
와이어링 하니스 점검 절차
1.
와이어링 하니스를 분리하기 전에 와이어링 하니스의 장착 위치를 확인하여, 재설치 및 교환 시 활용한다.
2.
꼬임, 늘어짐, 느슨해짐에 대하여 점검한다.
3.
와이어링 하니스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지는 않은지 점검한다.
4.
회전 운동, 왕복 운동 또는 진동을 유발하는 부분이 와이어링 하니스와 간섭되지는 않은지 점검한다.
5.
와이어링 하니스와 단품의 연결상태를 점검한다.
6.
와이어링 하니스의 피복의 상태를 점검한다.
전기적인 회로 점검 절차
● 단선 회로
1.
단선 회로 점검 방법
단선 회로 발생 부분은[그림1] 통전 점검법(2번) 또는 전압 점검법(3번)으로 고장 부위를 찾을 수 있다.
2.
통전 점검법
기준값 (저항):
1Ω 이하: 정상 회로
1MΩ 이상: 단선 회로
A.
(A) 커넥터와 (C) 커넥터를 분리하고, 커넥터 (A)와 (C)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그림2]; 라인1의 측정 저항값이 "1MΩ 이상"이고, 라인2의 측정 저항값이 "1Ω 이하"라면, 라인1이 단선 회로이다 (라인2는 정상). 정확한 단선 부위를 찾기 위해서 라인1의 서브 라인을 점검한다 (다음 단계).
B.
(B) 커넥터를 분리하고, 커넥터 (C)와 (B1), 커넥터 (B2)와 (A)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그림3]; (C)와 (B1) 사이의 측정 저항값이 "1MΩ 이상"이고, (B2)와 (A) 사이의 측정 저항값이 "1Ω 이하"라면, 커넥터 (C)의 1번 단자와 커넥터 (B1)의 1번 단자 사이가 단선 회로이다.
3.
전압 점검법
A.
모든 커넥터가 연결된 상태에서, 각 커넥터 (A), (B), (C) 커넥터의 1번 단자와 샤시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그림4]; 측정 전압이 각각 5V, 5V, 0V라면, (C)와 (B) 사이의 회로가 단선 회로이다.
● 단락 회로
1.
단락(접지) 회로 점검 방법
단락(접지) 회로 발생 부분은[그림5] 접지와의 통전 점검법(2번)으로 고장 부위를 찾을 수 있다.
2.
접지와의 통전 점검법
기준값 (저항):
1Ω 이하: 단락(접지) 회로
1MΩ 이상: 정상 회로
A.
(A) 커넥터와 (C) 커넥터를 분리하고, 커넥터 (A)와 접지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그림6]; 라인1의 측정 저항값이 "1Ω 이하"이고, 라인2의 측정 저항값이 "1MΩ 이상"라면, 라인1이 단락 회로이다 (라인2는 정상). 정확한 단락 부위를 찾기 위해서 라인1의 서브 라인을 점검한다 (다음 단계).
B.
(B) 커넥터를 분리하고, 커넥터 (A)와 샤시 접지, 커넥터 (B1)과 샤시 접지 사이의 저항을 측정한다 [그림7]; 커넥터 (B1)과 샤시 접지 사이의 측정 저항값이 "1Ω 이하"이고 커넥터 (A)와 샤시 접지 사이의 측정 저항값이 "1MΩ 이상"이라면, 커넥터 (B1)의 1번 단자와 커넥터 (C)의 1번 단자 사이가 단락(접지) 회로이다.
증상별 고장진단
(증상 1) 시동 불능
가능한 원인
•
캠샤프트 포지션 센서와 크랭크 포지션 센서 동시 고장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저압 연료 회로의 공급 라인과 리턴 라인이 바뀌어서 연결됨
•
저압 연료 펌프 (연료 탱크내 위치) 결함
(증상 2) 시동 어려움 또는 시동 직후 멈춤
가능한 원인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저압 연료 회로의 공급 라인과 리턴 라인이 바뀌어서 연결됨
(증상 3) 엔진 웜업시 시동 어려움
가능한 원인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증상 4) 공회전 불안정
가능한 원인
•
하니스 저항 증가 (단선 또는 접촉 불량)
(증상 5) 공회전 속도 너무 높음 또는 너무 낮음
(증상 6) 배기 가스 색깔 이상 (흑색, 청색 또는 백색 스모크)
가능한 원인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인젝터 와셔 불량 (불량품 장착, 미장착 또는 2개 이상 장착)
(증상 7) 엔진 덜거덕 거림, 소음
가능한 원인
•
전자식 EGR 컨트롤 밸브 담힘 고착 → 엔진 소음 발생
•
인젝터 와셔 불량 (불량품 장착, 미장착 또는 2개 이상 장착)
(증상 8) 폭발음 발생
가능한 원인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증상 9) 엑셀 페달 반응 느림
(증상 10) 가속시 엑셀 페달 반응 느림
가능한 원인
•
터보 차쳐 손상 또는 진공 호스 라인 누기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증상 11) 엔진 멈춤
가능한 원인
•
크랭크샤프트 포지션 센서 출력 신호 미감지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저압 연료 펌프 (연료 탱크내 위치) 결함
(증상 12) 엔진 진동 발생
가능한 원인
•
하니스 저항 증가 (단선 또는 접촉 불량)
•
저압 연료 펌프 (연료 탱크내 위치) 결함
•
인젝터 와셔 불량 (불량품 장착, 미장착 또는 2개 이상 장착)
(증상 13) 엔진 출력 부족
가능한 원인
•
터보 차쳐 손상 또는 진공 호스 라인 누기
(증상 14) 엔진 출력 과다
(증상 15) 연료 소비 과다
(증상 16) 변속시 엔진 속도 급격히 증가
(증상 17) 배기 가스 냄새 발생
가능한 원인
•
인젝터 와셔 불량 (불량품 장착, 미장착 또는 2개 이상 장착)
(증상 18) 가속시 스모크 (흑색, 백색, 청색) 발생
가능한 원인
•
인젝터 와셔 불량 (불량품 장착, 미장착 또는 2개 이상 장착)
(증상 19) 연료 냄새 발생
(증상 20) 엑셀 페달 놓을 때 엔진 정지
가능한 원인
•
저압 연료 회로의 공급 라인과 리턴 라인이 바뀌어서 연결됨
•
연료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
레일 압력 레귤레이터 밸브 오염, 고착 또는 막힘
(증상 21) 엔진 정지 안됨
(증상 22) 기계적 소음 발생
구분
제원
연료 탱크
용량
75 리터
연료 리턴 시스템
형식
리턴 타입
연료 필터
형식
고압 펌프 (엔진 룸 장착)
고압 펌프
형식
기계식, 플런저 펌핑 형식
구동 방식
캠 샤프트
고압 연료 압력
최대 압력
1,600 바(bar)
입력 센서
▶ 형식 : 핫-필름 (Hot-Film) 형식
▶ 제원
흡기 온도 : 20°C
공기량(kg/h)
주파수 (kHz)
8
1.94 ~ 1.96
10
1.98 ~ 1.99
15
2.06 ~ 2.07
75
2.72 ~ 2.75
160
3.36 ~ 3.41
310
4.44 ~ 4.53
640
7.66 ~ 8.01
800
10.13 ~ 11.17
흡기 온도 : -15°C 또는 80°C
공기량(kg/h)
주파수 (kHz)
10
1.97 ~ 1.99
75
2.71 ~ 2.76
160
3.34 ~ 3.43
310
4.39 ~ 4.58
▶ 형식: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 (kΩ)
-40
35.14 ~ 43.76
-20
12.66 ~ 15.12
0
5.12 ~ 5.89
20
2.29 ~ 2.55
40
1.10 ~ 1.24
60
0.57 ~ 0.65
80
0.31 ~ 0.37
▶ 형식: 피에조-저항 형식
▶ 제원
압력 (kPa)
출력 전압 (V)
70
1.02 ~ 1.17
140
2.13 ~ 2.28
210
3.25 ~ 3.40
270
4.20 ~ 4.35
▶ 형식: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 (kΩ)
-40
40.93 ~ 48.35
-20
13.89 ~ 16.03
0
5.38 ~ 6.09
20
2.31 ~ 2.57
40
1.08 ~ 1.21
60
0.54 ~ 0.62
80
0.29 ~ 0.34
▶ 형식: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 (kΩ)
-40
48.14
-20
14.13 ~ 16.83
0
5.79
20
2.31 ~ 2.59
40
1.15
60
0.59
80
0.32
▶ 형식: 홀 센서 형식
▶ 제원
▶ 형식: 가변 자기 형식
▶ 출력 전압 (V): 0 ~ 5V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774 ~ 946Ω (20°C)
▶ 형식: 포텐셔미터 형식
▶ 제원
조건
출력 전압 (V)
APS 1
APS 2
밟지 않음
0.7 ~ 0.8
0.29 ~ 0.46
완전히 밟음
3.85 ~ 4.35
1.92 ~ 2.18
▶ 형식 :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kΩ)
-30
27.00
-20
15.67
-10
9.45
0
5.89
20
2.27 ~ 2.73
40
1.17
50
0.83
60
0.60
70
0.43
80
0.30 ~ 0.32
▶ 형식: 피에조 압전 소자 형식
▶ 제원
구분
레일 압력 (bar)
출력 전압 (V)
공회전
220 ~ 320
1.7V 이하
엑셀 페달 완전 밟음 (100%)
약 1,800
약 4.5V
▶ 형식: 자르코니아 (ZrO2) 산소 센서 형식
▶ 제원
공연비 (λ)
펌핑 전류 (A)
0.65
-2.22
0.70
-1.82
0.80
-1.11
0.90
-0.50
1.01
0.00
1.18
0.33
1.43
0.67
1.70
0.94
2.42
1.38
공기 (대기)
2.54
온도 (°C)
히터 저항(Ω)
20
9.2
100
10.7
200
13.1
300
14.6
400
17.7
500
19.2
600
20.7
700
22.5
▶ 형식 :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kΩ)
100
289.0 ~ 481.0
300
5.30 ~ 6.61
600
0.35 ~ 0.38
900
0.08 ~ 0.09
▶ 형식: 피에조 저항 형식
▶ 제원: 출력 전압 Vout = (4.5 - 1.0) / 100 * ΔP + 1.0 (V)
차압 [ΔP] (kPa)
출력 전압 (V)
0
1.00
10
1.35
20
1.70
30
2.05
40
2.40
50
2.75
60
3.10
70
3.45
80
3.80
90
4.15
100
4.50
▶ 형식 : 써미스터 형식
▶ 제원
온도 (°C)
저항(kΩ)
100
289.0 ~ 481.0
300
5.30 ~ 6.61
600
0.35 ~ 0.38
900
0.08 ~ 0.09
▶형식: 유도 자기 형식
출력 엑츄에이터
▶ 개수: 4 개
▶ 제원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0.215 ~ 0.295Ω
▶ 제원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2.9 ~ 3.15Ω (20°C)
▶ 제원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3.42 ~ 3.78Ω (20°C)
▶ 제원
듀티
스로틀 밸브 포지션
5
열림
5 ~ 94
정상 작동 (듀티값에 비례하여 부분적 열림)
94
닫힘
94~95
정상 작동시의 최근 위치 유지
95~97
완전 닫힘
▶ 형식: 리니어 솔레노이드 (전기식) 형식
▶ 제원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7.3 ~ 8.3Ω (20°C)
▶ 제원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14.7 ~ 16.1Ω (20°C)
▶ 형식: 모터 구동 방식/ 포지션 센서
▶ 제원
모터
항목
제원
코일 저항 (Ω)
3.4 ~ 4.4Ω (20°C)
포지션 센서
항목
제원
코일 저항 (kΩ)
3.44 ~ 5.16kΩ (20°C)
공회전 속도 (웜-업 후 무부하시)
A/C OFF
중립,N, P 단
790±100 rpm
D 단
790±100 rpm
A/C ON
중립,N, P 단
790±100 rpm
D 단
790±100 rpm
엔진 제어 시스템
구분
kgf·m
ECM 브라케트 장착 볼트
0.8 ~ 1.2
부스트 압력 센서 장착 볼트
0.8 ~ 1.2
냉각 수온 센서 장착
2.0 ~ 4.0
크랭크 샤프트 포지션 센서 장착 볼트
0.4 ~ 0.6
캠 샤프트 포지션 센서 장착 볼트
0.4 ~ 0.6
전자식 EGR 제어 밸브 장착 볼트
2.0 ~ 2.7
가변 스월 액츄에이터 장착 볼트
1.0 ~ 1.2
스로틀 바디 장착 볼트
1.0 ~ 1.2
오일 압력 스위치 장착
1.5 ~ 2.2
공기량 측정 센서 클램프 장착 볼트
0.3 ~ 0.5
람다 센서 장착
4.1 ~ 6.1
배기 가스 온도 센서 (CPF 전용) 장착
4.0 ~ 5.0
배기 가스 온도 센서 (VGT 전용) 장착
4.0 ~ 5.0
DPS&VGT 컨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브라케트 장착볼트
1.0 ~ 1.2
연료 공급 시스템
구분
kgf·m
인젝터 클램프 장착 볼트
2.5 ~ 2.9
커먼레일 장착 볼트
2.0 ~ 2.7
고압 연료 펌프 장착 볼트
2.5 ~ 3.5
고압 연료 파이프 (인젝터 ↔ 커먼 레일) 장착 너트
2.5 ~ 2.9
고압 연료 파이프 (인젝터 ↔ 고압 펌프) 장착 너트
2.5 ~ 2.9
연료 탱크 밴드 장착 볼트
4.0 ~ 5.5
연료 펌프 (저압) 장착
6.0 ~ 7.0
서브 연료 센더 장착
6.0 ~ 7.0
엑셀 페달 장착 볼트
1.7 ~ 2.6
출처 : 시흥현대모터스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