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정보

[스크랩] 싼타페CM 엔진전장시스템

연두무침 2009. 11. 10. 21:07

제원

시동 장치

항 목
D-eng
스타터
타입
감속구동식
정격 출력
12V / 2.0KW
피니언 잇수
9
무부하 테스트
전압
11.5V
전류
120A, MAX
스피드
4,000rpm, MIN

충전 장치

항 목
D-eng
알터네이터
타입
교류 발전 정류식
정격 출력
12V / 120A
레귤레이터 형식
전자기식 내장형
레귤레이터 셋팅 전압
14.4 ± 0.3V
온도 보상
-10 ± 3 mV/°C
배터리
타입
CMF 90L
냉간 시동 전류 [at -18°C]
720 A
용량
160 min
비중 [at 25°C]
1.280 ± 0.01

냉간 시동 전류(Cold Cranking Ampere): 특정 온도에서 7.2V 이상의 터미널 전압을 유지하며 30초간 배터리가 공급할 수 있는 전류
보존 용량(Reserve Capacity): 26.7°C의 온도에서 최소 터미널 전압 10.5V를 유지하면서 배터리가 25A를 공급할 수 있는 총시간

예열 장치

항 목
D-eng
예열 플러그
정격 전압
DC 11V
전류
16A ± 1.5A
예열 플러그 릴레이
정격 전압
DC 12V
작동 전압
DC 9V ~ DC 16V
작동 온도
-40°C ~ 120°C
정격 부하 전류
DC 12V, 70A

고장진단
충전 계통
현 상
가능한 원인
조 치(참조)
점화 스위치 ON 위치에서 충전 경고등이 점등되지 않는다.
퓨즈가 끊어짐
퓨즈 교환
전구가 끊어짐
전구 교환
와이어링 연결부가 풀림
느슨해진 연결부를 재조임
L-S 단자 역접속
와이어링 점검 및 교환, 전압 레귤레이터 교환
엔진의 시동을 걸었을때도 충전 경고등이 소등되지 않는다.
(배터리를 자주 충전시켜야 한다.)
구동 밸브가 느슨하거나 마모됨
구동 밸트 교환
퓨즈가 끊어짐
퓨즈 교환
퓨저블 링크가 끊어짐
퓨저블 링크 교환
전압 레귤레이터 혹은 알터네이터 결함
알터네이터 교환
와이어링 결함
와이어링 수리 또는 교환
배터리 케이블의 부식, 마모
수리 혹은 배터리 케이블 교환
과충전 된다.
전압 레귤레이터 결함 (충전 경고등 점등됨)
전압 레귤레이터 교환
전압 감지 와이어링의 결함
와이어링 교환
배터리가 방전된다.
구동 밸트가 느슨하거나 마모됨
구동 밸브 교환
와이어링 접속부의 느슨해짐 혹은 회로의 단락
느슨해진 연결부를 재조임 또는 와이어링의 수리
퓨저블 링크가 끊어짐
퓨저블 링크 교환
접지 불량
수리
전압 레귤레이터 결함 (충전 경고등 점등됨)
알터네이터 점검
배터리 수명이 다됨
배터리 교환

시동 계통
현 상
가능한 원인
조 치
크랭킹이 되지 않는다.
배터리 충전전압이 낮다
충전 혹은 배터리 교환
배터리 케이블의 느슨해짐, 부식 또는 마모
수리 혹은 케이블의 교환
인히비터 스위치의 결함 (A/T 차량)
조정 혹은 스위치의 교환
퓨저블 링크의 단락
퓨저블 링크의 교환
스타터 모터의 결함
스타터 교환
점화 스위치의 결함
점화 스위치 교환
크랭킹이 느리다.
배터리 충전압이 낮다
충전 혹은 배터리 교환
배터리 케이블의 느슨해짐, 부식 또는 마모
수리 혹은 케이블의 교환
스타터의 결함
스타터 교환
스타터가 계속 회전한다.
스타터의 결함
점화 스위치의 결함
스타터 교환
점화 스위치 교환
릴레이 쇼트
배선 쇼트
릴레이 교환
배선 점검/교환
타 요인에 의하여 스타터가 계속 회전할 경우 스타터를 교체하되,
귀책구분을 원인 업체로 변상조치
스타터는 회전하나 엔진은 크랭킹 되지 않는다.
와이어링의 단락
수리 또는 교환
피니언 기어 이빨의 마모 및 부러졌거나 모터의 결함
스타터 교환
링 기어의 이빨의 마모 및 부러졌음
플라이 휠 기어 혹은 토크 컨버터 교환

예열 계통
현 상
가능한 원인
조 치
냉각수 온도 50°C미만에서 시동이 잘 안된다.
와이어링 커넥션 풀림 또는 와이어링 불량
와이어링 수정 또는 커넥션 조임
냉각수온 센서 고장
냉각수온 센서 교환
예열 플러그 고장
예열 플러그 교환
예열 컨트롤 유니트 고장
유니트 교환
1차 폭발후 엔진이 정지 하거나 냉각수 온도 50°C미만에서 아이들 상태가 고르지 않다.
접속부의 풀림이나 와이어링 불량
와이어링 수리 또는 커넥션 조임
예열 플러그 고장
예열 플러그 교환
예열 플러그 릴레이 고장
릴레이 교환
예열 컨트롤 유니트 고장
유니트 교환
황색 예열 지시등이 켜지지 않는다.
램프 단락
황색 램프 교환
접속부가 풀리거나 와이어링 균열
와이어링 교환 및 접속부 조임
와이어링 숏트
수리 또는 와이어링 교환
예열 컨트롤 유니트 고장
유니트 교환

 

충전시스템

개요

차상 점검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의 전압강하 시험

1.
준비
(1)
점화 스위치를 "OFF" 시킨다.
(2)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3)
알터네이터 출력선을 알터네이터의 "B" 단자로부터 분리시킨다.
(4)
직류 전류계(0 ~ 150A)를 "B" 터미널과 분리한 출력선사이에 연결한다. 전류계의(+) 리드선을 터미널 "B"에연결하고 (-)리드선은 분리된 출력선에 연결한다.
클램프 타입 전류계를 사용하면 하니스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5)
알터네이터 "B" 터미널과 배터리(+) 터미널 사이에 디지탈 전압계를 연결한다.
전압계의 (+)리드선을 "B" 터미널에 연결하고 (-)리드선은 배터리(+) 터미널에 연결한다.
(6)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7)
후드는 개방시킨 채로 놓아 둔다.

2.
시험
(1)
시동을 건다.
(2)
헤드라이트(head light)를 ON/OFF하면서 전류계의 눈금이 20A를 가르키도록 엔진속도를 조정하고 그때의 전압을 측정한다.
3.
결과
(1)
전압이 표준치를 나타내면 정상이다.

시험전압 : 최대 0.2V

(2)
만일 전압계의 측정치가 표준치 보다 크면 와이어링이 불량일 경우가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알터네이터 "B" 터미널과퓨저블링크, 알터네이터와 배터리(+) 터미널 사이의 와이어링을 점검한다.
(3)
또한 재시험을 하기전에 연결부의 풀림, 과열로 인한 하니스의 변색등을 점검하여 수리한다.
(4)
시험을 완료한 후에 엔진속도를 공회전 상태로 조정하고 라이트와 점화스위치를 "OFF" 시킨다.
(5)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6)
시험을 위해 연결했던 전류계와 전압계를 분리시킨다.
(7)
알터네이터 출력 리드선을 알터네이터 "B" 터미널에 연결한다.
(8)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출력 전류 시험

1.
준비
(1)
시험에 앞선 다음 사항을 점검하여 필요시에는 수리해야 한다.
(2)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가 정상 상태인가를 확인한다.
출력전류를 측정할때는 약간 방전된 배터리를 사용해야한다.
완전히 충전된 배터리를 사용하면 부하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험을 하기가 어렵다.
A.
점화 스위치를 "OFF" 시킨다.
B.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C.
알터네이터 "B" 터미널에서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를 분리시킨다.
D.
"B" 터미널과 분리된 출력 와이어에 직류 전류계(0 ~150A)를 연결한다.
전류계의 (+)리드선은 "B" 단자에 연결하고 (-)리드선은 출력 와이어에 연결한다.
고전류가 흐르므로 클립 등으로 연결하지 말고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각 연결부를 완전히 조인다.
E.
"B" 터미널과 접지사이에 전압계(0 ~ 20V)를 연결한다. 이때 (+)리드선은 알터네이터 "B"터미널에 연결하고 (-)리드선은 적당한 위치의 접지에 연결한다.
F.
엔진 타코미터를 연결하고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G.
엔진 후드는 계속 열어 놓는다.

2.
시험
(1)
전압계가 배터리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가르키는지 확인한다.
만일 전압계가 0V를 가르키면 알터네이터 "B" 터미널과 배터리(-)터미널 사이의 와이어가 단락되었거나, 퓨저블 링크가 끊겼거나 접지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2)
엔진의 시동을 건 후 헤드라이트 스위치를 "ON" 시킨다.
(3)
헤드라이트를 "원등"에 놓고 히터 블로워 스위치를 "HIGH"에 놓고서 급속히 엔진 속도를 2500rpm으로 증가시키며 전류계에 나타나는 최대 출력 전류값을 측정한다.
엔진을 시동한 후 충전전류가 급격히 떨어지므로 이시험을 빠르게 측정해야만 정확한 최대 전류값을 구할 수 있다.
3.
결과
(1)
전류계의 측정치는 한계치보다 높아야 한다. 만일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는 정상인데 전류가 낮다면 차량에서 알터네이터를 탈거하여 점검한다.

출력 전류 : 정격전류의 40%

정격 출력 전류값은 알터네이터 보디에 있는 명판에 표시되어 있다.
출력전류는 알터네이터 자체의 전기부하 및 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시험시 차량의 전기적인 부하가 작다면 정격출력 전류를 구할 수 없다. 이런 경우 헤드라이트를 켜서 배터리의 방전을 유도하거나 다른 차량의 라이트를 사용하여 전기부하를 증가시킨다.
알터네이터 자체의 온도나 그 주위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정격 출력전류를 구할 수 없으므로 재시험을 시도하기전에 온도를 낮추어야 한다.
(2)
출력 전류 시험을 완료한 후에 엔진 속도를 공회전 속도로 낮추고 점화 스위치를 "OFF" 시킨다.
(3)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4)
전류계, 전압계, 엔진 타코미터를 탈거한다.
(5)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를 알터네이터 "B" 터미널에 연결한다.
(6)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조정전압 및 고장진단 기능시험

1.
준비
(1)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가 완전히 충전되었는지를 확인한다.
(2)
점화 스위치를 "OFF" 시킨다.
(3)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4)
디지탈 전압계를 알터네이터의 "L" 단자 또는 "S" 단자와 접지 사이에 연결한다. 전압계의(+)리드선은 특수공구 하니스 커넥터를 사용하여 "L" 또는 "S" 단자에 연결한다. 전압계의(-)리드선은 적정한 접지 또는 배터리 (-)단자에 연결한다.
(5)
알터네이터 "B" 터미널에서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를 분리시킨다.
(6)
"B" 터미널과 분리된 출력 와이어 사이에 직류 전류계(0 ~ 150A)를 직렬로 연결하고 전류계의 (-)리드선은 분리된 출력 와이어에 연결한다.
(7)
엔진 타코미터를 장착하고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2.
시험
(1)
점화 스위치를 "ON" 시키고 전압계가 표준치를 가르키는가를 확인한다.
만일 측정치가 0 V 이면 알터네이터 "B" 터미널과 배터리(+)터미널 사이의 와이어가 단선되었거나 퓨저블 링크가 소손된 것이다.
(2)
엔진의 시동을 걸고 모든 라이트와 부장품은 "OFF" 상태로 둔다.
(3)
엔진속도를 2500 rpm 으로 증가시키면서 알터네이터 출력 전류가 10A이하로 떨어질때 전압계를 읽는다.
(4)
엔진속도를 아이들 상태에 두고 외부에서 인가된 부하(각종전기장치)는 OFF 시킨다.
(5)
여기에서 과도한 부하를 순간적으로 인가한다 (부하전류 15A이상).
(6)
과도한 부하를 인가하기전의 전압계를 읽고 부하가 인가된 후 전압이 부하 인가전 전압과 거의 동일하게 되었을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3.
결과
(1)
전압계의 측정치가 다음에 있는 조정 전압표와 일치하면 전압 레귤레이터는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며, 만일 측정치가 표준치를 초과하면 전압 레귤레이터나 알터네이터가 결함이 있는 것이다.
전압 레귤레이터의 주위온도 (°C)
조정 전압 (V)
-30
14.1 ~ 15.2
20
14.1 ~ 14.7
120
13.3 ~ 14.7

(2)
과도한 부하 인가후 전압이 부하이전 전압과 거의 동일하게 되기까지의 소요시간이 2 ~ 7초가 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3)
시험을 마친 후 엔진속도를 공회전으로 조정하고 점화스위치를 "OFF" 시킨다.
(4)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분리시킨다.
(5)
전압계와 전류계, 엔진 타코미터를 탈거한다.
(6)
알터네이터 출력 와이어를 알터네이터 "B" 터미널에 연결한다.
(7)
배터리 접지 케이블을 연결한다
알터네이터

구성부품

교환
1.
배터리 (-)케이블을 분리한다.
2.
드라이브 밸트를 분리 시킨다.
3.
알터네이터 커넥터(A)와 "B"터미널 케이블(B)을 분리하고 베큠펌프(C), 베큠호스(E)를 분리한다.

4.
알터네이터 장착 볼트(A)를 풀고 관통볼트(B)를 빼내어 알터네이터(C)를 탈거한다.

5.
장착은 탈거의 역순이다.
-
오일 호스는 미리 알터네이터에 설치해 놓고 알터네이터를 조립할 때 동시에 오일팬측 니플에 끼워 넣고 호스 클립은 니플의 스트레이트 측에서 고정한다.
-
오일 튜브는 실린더 블록에 닿지 않도록 곡면을 크게 취하여 조립니다.
분해
1.
풀리(A)를 탈거한다.

2.
베큠 펌프 장착 볼트(A)를 풀고 베큠 펌프 어셈블리(B)를 탈거한다.

3.
"B"터미널 몰드커버(A)를 탈거하고 리어 커버 마운팅 너트(B)를 탈거한다.

4.
관통볼트(A) 4개를 풀고 리어커버(B)를 탈거한다.

5.
스테이터 리드(A)와 다이오드 리드(A) 사이의 납땜을 제거하고 레귤레이터 어셈블리(B)를 탈거한다.
납땜 제거시 인두의 열이 다이오드에 장시간 가해져 다이오드 접합부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다.

6.
로터(A)와 스테이터(B) 그리고 프론트 커버(C)를 분리한다.

조립
1.
로터를 리어 브라켓트에 장착하기에 앞서 와이어(A)를 리어 브라켓트(B)의 작은 구멍에 집어놓어 브러시(C)를 고정시킨다.
2.
로터를 조립한 후에 와이어를 빼낸다.

점검

로터 점검

1.
슬립링(A) 사이가 통전 되는지 점검하고 비통전 되면 로터를 교환한다.

2.
슬립링과 로터(B), 슬립링과 샤프트(C)가 비통전 되는지 점검한다. 통전되면 로터를 교환한다.

스테이터 점검

1.
각각의 리드선(A) 사이의 통전 되는지 점검한다.
비통전 되면 스테이터를 교환한다.

2.
각각의 리드선과 코일 코어(B) 사이가 비통전 되는지 점검한다. 통전되면 스테이터를 교환한다.

브러쉬 점검

1.
마모 한계치(A) 이하까지 마모된 것은 교환한다.
2.
브러쉬의 리드 와이어 납땜을 떼내면 브러쉬와 스프링이 분리된다. 신품을 조립할 때는 브러쉬 홀더에 들어가도록 눌러서 리드와이어를 납땜한다.

레귤레이터 점검

1.
(+) 다이오드와 스테이터 코일리드 연결단자 사이의 통전을 점검했을때 저항계가 한 방향으로만 통전 되어야 한다. 양쪽 방향으로 전부 통전되면 다이오드가 단락된 것이므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2.
(-) 다이오드와 스테이터 코일리드 연결단자 사이의 통전을 점검했을때 저항계가 한 방향으로만 통전 되어야 한다. 양쪽 방향으로 전부 통전되면 다이오드가 단락된 것이므로 레귤레이터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3.
3개의 여자다이오드 사이에 저항계를 연결하여 통전을 시험했을때 한 방향으로만 통전되는지 점검한다. 양쪽 방향으로 전부 통전되면 다이오드가 손상된 것이므로 히트싱크 어셈블리를 교환한다.

배터리

일반 사항
1.
CMF(Closed Maintenance Free)배터리는 보수가 필요 없고 배터리 셀 캡을 탈거할 수 없다.
2.
CMF배터리는 보수를 위해 물을 보충할 필요가 전혀 없다.
3.
CMF배터리는 커버의 작은 벤트 홀을 제외하고 완전히 밀봉되어 있다.

배터리 검사 절차

부하 시험

1.
MF 배터리의 완벽한 부하 시험을 위해 단계별로 아래의 절차를 수행한다.
2.
부하 시험기 클램프를 각 터미널에 연결하고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1)
충전된 배터리의 경우 15초 동안 300A의 부하를 적용하여 잔류 전압을 제거한다.
(2)
전압계를 연결하고 300A의 부하를 적용한다.
(3)
15초간 부하를 적용한 후 전압계가 나타내는 값을 읽는다.
(4)
부하를 제거한다.
(5)
전압계가 나타내는 값과 표의 값을 비교하고 측정 전압값이 표의 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를 교환한다.
전압
온도
9.6 V
20°C
9.5 V
16°C
9.4 V
10°C
9.3 V
4°C
9.1 V
-1°C
8.9 V
-7°C
8.7 V
-12°C
8.5 V
-18°C

전압이 표에 나타난 값 미만인 경우 배터리를 교환한다.
전압이 표에 나타난 값 이상인 경우 배터리는 정상이다.

배터리 진단 시험

1.
점화 스위치와 모든 액세서리를 "OFF"한다.
2.
배터리 케이블을 탈거한다. (-)측을 먼저 탈거한다.
3.
차량으로부터 배터리를 탈거한다.
배터리 케이스에 균열이나 전해액의 누설을 주의 깊게 살피고 배터리 탈거시 전해액이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두터운 고무 장갑 등을 착용한다.(가정용 고무장갑 제외)

4.
배터리 트레이 부분에 전해액 누설로 인한 손상이 발견되면 따뜻한 물에 베이킹 소다를 용해시켜 손상 부분을 세척한다. 먼저 뻣뻣한 브러시 등을 이용하여 손상 부분을 문지른 후 베이킹 소다 수용액을 적신 천으로 닦아낸다.
5.
배터리 상부를 베이킹 소다 수용액으로 세척한다.
6.
배터리 케이스 및 커버에 균열을 점검하고 균열이 발견되면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7.
적절한 도구를 이용하여 배터리 포스트 부분을 청소한다.
8.
적절한 도구를 이용하여 배터리 터미널 클램프 안쪽 면을 청소하고 손상된 케이블이나 파손된 터미널 클램프는 교환한다.
9.
배터리를 차량에 장착한다.
10.
배터리 케이블 터미널과 배터리 포스트를 연결한다.
11.
터미널 너트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12.
체결 후 모든 접촉 부분에 광물질 그리스를 도포한다.
배터리 충전시 각각의 셀에서는 폭발성의 가스가 형성되므로 배터리 충전시 또는 충전 직후에 배터리 주변에서 담배 등을 피우지 않는다. 배터리 충전 중 회로를 개방 시키지 않는다. 회로 개방시 스파크가 발생하므로 주변의 인화성 물질 등과 가까이 하지 않는다.

출처 : 시흥현대모터스
글쓴이 : young 원글보기
메모 :